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추세가 장기화 되면서 소상공인과 영세자영업자들이 최악의 상황으로 내몰리고 있다. 문을 열었지만 손님들의 발길은 끊겼고 급격한 매출감소에 자영업자들은 폐업위기에 까지 몰렸다.  
전국적인 현상이긴 하지만 경제규모가 영세한 전북 사업자들이 체감하는 어려움이 극에 달하면서 지금껏 한 번도 경험해 보지 못했던 불황이고 세월호나 메르스때는 그나마 호시절이었다고 까지 말할 정도다. 사실상 대인관계가 단절되고 다중이용시설 이용을 극도로 꺼리는 상황이 고착화 되면서 소상공인 연합회가 소상공인들을 대상으로 한 코로나19 피해를 묻는 설문에 대해 전체의 98%가 매출이 급감했다고 답할 정도다.
임대료와 인건비, 관리비등 매달 지출되는 고정 비용은 그대로 지만 매출이 일어나지 않으면서 모든 게 사업자의 부담으로 이어지는 상황이 한 달을 넘기면서 점차 인내에 한계를 느껴가고 있는 것이다. 
금융기관 마다 정책자금 대출을 위한 상담이 줄을 잇고 정부 역시 소상공인을 위한 정책자금 지원에 나섰지만 전북신용보증재단만 해도 대기 인원이 300여명에 달할 정도로 배정된 자금은 턱없이 부족하다. 그나마 이들 자금을 지원받을 수 있는 대상도 신용도가 좋은 일부사업자들에게 유리한 게 현실이라 정작 절실하게 지원이 필요한 저 신용 소상공인 사업자들에겐 별다른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
중소기업 중앙회가 공제가입 소상공인과 중소기업 경영부담 완화를 위해 대출만기 연장, 부금납부 3개월 유예 등의 조치를 내놨지만 새롭게 빚을 내야 하는 급박한 현실에 처한 영세사업들에겐 남의 일로 여겨질 정도로 신규자금 수요가 몰리고 있다. 정부와 여당이 코로나19 사태에 대응하기 위해 6조2천억 원 이상의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하고 이중 2조원은 소상공인 긴급경영안정자금으로 지원하겠다고 했지만 자금이 적재적소에 쓰여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보다 세심히 들여다봐야 하는 이유다.
도내 60만 소상공인의 절대 다수가 고용인조차 두지 못하고 혼자서, 아니면 최소한의 가족끼리 사업장을 운영하는 취약한 사업구조 속에 하루하루를 버티고 있다. 코로나19 사망자보다 경제파산으로 죽어가는 통계도 없는 소상공인을 위한 대책을 마련해 달라는 간절한 호소에 정부와 지자체는 귀를 기울여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