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전번역원 한국문집번역총서 <성재유고(醒齋遺稿)>(흐름출판사)가 출간됐다.
  전주대학교 한국고전학연구소에서 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고전번역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결과물이다.
  성재 신익상은 1634년(인조12) 11월 2일에 구례에서 태어났다.
  그의 문장은 우아하면서도 거침없다는 세인의 평을 들었다. 시율도 여유가 있고 아름다웠는데, 전자(篆字)에 특히 뛰어나 아버지 신량의 비와 이경의 묘갈에 전액을 남겼다.
  신익상의 시문은 그의 아들 신숙에 의해 수집된 것으로 보이며, 이후 신익상의 유고는 오랫동안 묵혀 있다가, 1834년(순조34) 무렵에야 비로소 정리되었다.
  전 6권으로 구성된 <성재유고>는 국립중앙도서관장본을 저본으로 한 번역서이며, 불분권 10책이다.
  책1에서 책2의 중반 ‘정경력의 협운에 따라 지은 시에 차운하다’까지는 대체로 연대순으로 시를 선정하고 편차하였지만, 그 뒤로는 송시·증별시·만시만을 뽑아 대략 연대순으로 모아 놓은 형편이다.
  책3에는 나머지 시들 가운데 주로 감회시와 친구 유상운과 주고받은 시 그리고 습유 및 어린 시절의 작품 등을 끌어다 놓았다.
  책4에는 친구 유상운과의 차운시를 집중적으로 실었고, 책5에는 〈북관록〉을 비롯해 기타의 시들을 수록하였다.
  책6에서 책10까지는 문(文)인데, 이 또한 문체별로 정연하게 분류해 놓았다고 보기가 어렵다. 가장의 유고를 정리하지 않고, 그대로 필사만 해 놓은 모습이다.
  그 결과 빈 여백으로 남은 페이지들이 군데군데 드러나고, 부록 문자(들이 뒤섞인 현상이 나타난다. 전체적으로 권차가 나뉘지 않았는데, 각각의 책 가운데 목록이 실린 곳을 전후로 권차를 구분하려고 한 의도가 엿보인다.
  본집은 여러 필체가 뒤섞인 필사본이라는 점으로 미루어, 몇몇 사람이 함께 등출한 책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지만, 구체적인 서사(의 경위는 분명하지 않다.
/이병재기자·kanadasa@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