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이 한 달도 채 남지 않았지만 코로나19로 인해 제대로 된 후보 검증은커녕 무더기 투표기권사태로 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각 정당이 속속 후보자 선출을 마무리 하고 선거대책위를 구성하는 등 본격적인 총선 체제 가동을 서둘고 있지만 정작 유권자들의 관심은 총선이 아닌 코로나19에 집중돼있기 때문이다. 
코로나19 예방을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 확산으로 예비후보들의 유권자접촉 선거운동도 사실상 중단됐다. 유권자를 만날 수 없는 후보들은 소셜미디어 등을 통한 간접홍보만이 최선인 선거운동에 나선지 오래다.
특히 얼굴 알리기가 최선의 과제인 정치신인들은 더더욱 설자리를 잃고 있다. 민주당에 대한 지지도가 월등한 전북의 경우 현재와 같은 무관심 선거가 계속될 경우 또다시 특정정당에 대한 묻지 마 투표가 나오는 것 아니냐는 전망까지 나온다. 지난 20대 총선에서 참패한 민주당이 전열을 가다듬고 총선체제에 나선데 반해 민생당은 아직도 혼란이고 미래통합당 역시 15일 현재 도내 2개 지역구에서만 겨우 후보를 냈다. 3명의 무소속 현역의원들도 선거분위기가 살아나지 않아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더 걱정인건 지금상황이라면 투표의 무더기 기권사태를 배제할 수 없다는 점이다. 선거 때마다 높은 투표율을 기록해 왔던 중장년과 고령층을 중심으로 ‘사회적 거리두기’ ‘집단사설 방문 금지’에 기표소 역시 예외 일수 없다며 ‘감염우려’차원에서 투표하지 않겠다는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선관위가 투표 참여가 저조를 예상하고 투표자 전원에 대한 마스크 지급이 필요하다며 범정부차원의 501억 원 예산을 요청할 만큼 21대 총선에 비상이 걸렸다. 여기에 제대로 된 후보검증 없는 묻지 마 투표로 인한 잘못된 선택은 집권여당 지지도를 등에 업은 어부지리, 인지도높은 후보 프리미엄 작용의 무관심이 바탕이 된 이유로 결국 동물국회, 식물국회란 최악의 평가를 받았던 20대국회가 21대 국회에서 재연될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총선연기론이 제기되는 이유기도 하다.
정부와 국민이 총역량을 동원해 반드시 종식시켜야 하는 코로나19보다 총선의 중요성이 앞 설순 없다. 하지만 여기에 묻혀 함량미달 21대국회가 탄생하는 것은 분명 또 다른 불행이다.  정상적 투표가 이뤄질 수 있는 분위기 조성과 함께 후보검증을 위한 유권자들의 적극적인 관심이 절실해 지고 있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