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상수 농촌진흥청 기술보급과 농촌지도관

지난해 말, 영국 경제분석기관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EIU)이‘2019 글로벌 식량안보지수’를 발표했다. 이 지수에서 우리나라는 조사대상국 113개국 가운데 29위를 차지했다. 낮은 순위는 아니지만 OECD국가 중에서는 하위권에 속한다. 한편, 이 지수와는 별도로 기후변화 위험도에 대한 대비와 천연자원 오염 수준 등을 평가하는 ‘천연자원 및 회복력’ 부문에서는 61위를 차지했다. 식량안보 측면에서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에 대비한 정도가 낮은 것이다.

기후변화가 농업과 식량안보를 위협하는 주된 요소라는 점은 이미 경고된 사실이다. 2017년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실린 자료에 따르면 지구의 평균기온이 1℃ 상승 할 때마다 세계 쌀 생산량은 평균 3.2% 감소하고 옥수수는 7.4%, 콩 3.1%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아프리카와 서남아시아에 발생한 메뚜기떼도 기후변화를 원인으로 보고 있다.     

우리나라는 지난 100년간 평균기온이 1.8도 올랐다. 세계 평균 기온 상승률보다 약 2.4배가량 높은 편이다. 이로 인해 농산물의 재배지가 북상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고, 아열대작목 등 새로운 작물의 재배도 증가하고 있다.

기상청에서는 기후학적으로 월평균 기온이 10℃ 이상인 달이 8~12개월 지속 되면 아열대기후대로 분류한다. 최근 10년간 평균기상을 보면 제주도와 부산, 통영, 여수, 목포 등 남해안 지역은 ‘아열대화’용어가 사용 가능한 지역이 되었다.

기후변화로 인한 위험을 최소화하고 반전의 기회로 삼을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첫째는 현재 재배 중인 작물의 안정생산 기술을 개발하고 보급해야 한다. 매년 기후변화로 인한 농작물 피해가 반복해 발생하고 있다. 농촌진흥청의 경우 폭염, 가뭄, 저온피해를 줄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시범사업 등의 형태로 농업현장에 보급하고 있다. 현장에서도 개발된 기술들을 적극적으로 수용해 기후변화 대응 노력에 동참해야 한다.
둘째, 장기적인 관점에서 새로운 아열대작목에 대한 도입과 실증도 병행되어야 한다. 단기적인 측면에서 현재 재배하는 작목의 안정 생산이 중요하지만, 장기적인 측면에서는 30년 후, 50년 후에 우리나라에서 재배할 작목에 대한 선정도 중요하다. 셋째, 가속화 되고 있는 기후변화 속도를 늦추기 위해서 탄소 발생 경감기술 즉, 저탄소농업기술을 실천해야 한다. 2015년 12월 파리협정을 통해 국가별 자발적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설정하고 이행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과수 농업인 대부분 실천하고 있는 초생재배도 알고 보면 저탄소 농업기술에 포함된다.

한편 기후변화 대응 노력의 일환으로 몇 년 전부터 아열대 과수를 재배하는 농가들이 늘어나고 있다. 애플망고는 지자체 지원사업과 국내 생산 농산물에 대한 선호, 외국인 노동자의 증가 등으로 매년 증가하여 2019년 기준 약 62ha가 재배되고 있다. 제주도를 중심으로 약 29ha정도 재배 중인 바나나는 친환경(무농약) 재배를 통해 신뢰성이 높고, 당도와 식감이 수입산보다 우수해 내륙지역 재배가 확대되고 있다. 반면 백향과(패션푸르트)는 2017년 54.7ha까지 증가했지만 면적 증가에 따른 가격하락으로 2019년 36.5ha로 감소했다. 남부 해안지역에서 많이 재배하고 있는 강황도 2017년 78.8ha에서 2019년 46.4ha로 감소하였다.
아열대작목 재배를 계획했다면 당장 소득이 높은 작목을 선택하기보다 재배, 유통, 판매 그리고 가공 등 부가가치 산업까지 염두에 두고 작목을 선택해야 한다. 아열대작목 재배는 양날의 검이다. 잘하면 선구자로 인정받지만 실패하면 큰 경제적 피해를 받게 된다. 기후변화를 넘어 기후위기라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각 부문별로 대응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농업부문 피해 최소화를 위한 적응기술 발굴에 연구역량이 집중되고 있는 만큼 위기도 슬기롭게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이 도출될 것으로 기대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