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가 IMF이후 최대 위기를 맞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타격이 ‘심각’단계로 접어들면서 한국경제가 흔들리는 것으로 문재인대통령은 지금 경제 충격을 '국제통화기금(IMF) 구제금융 이후 최악'이라고 규정할 만큼 경제가 어렵다. IMF가 올해 세계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3%로 하향 조정하고 한국 역시 -1.2%의 성장률을 예상할 만큼 경제위기는 한국뿐 아니라 전세계가 직면한 현안이 됐다.
특히 서민가계에 불어 닥친 불황은 당장 일자리가 감소하는 것에서도 확인된다. 실직은 곧 생계를 의미하고 이의 확산은 국민의 삶 자체를 무너뜨린단 점에서 일자리 문제는 정부가 당면한 최대 현안이 되고 있다. 경제가 어려울 때 마다 우리는 1997년의 IMF경제위기도 슬기롭게 극복했다고 말하곤 하지만 지금 상황이 당시보다 심하고 또 그때의 힘들었던 경험이  되풀이 될 수 도 있단 우려는 생각만으로도 고통이 아닐 수 없다. 대기업이 무너지고 대량실직이 이어지면서 겪은 충격과 아픔의 공포가 아직도 우리의 기억 속에 고스란히 남아있기 때문이다.
실제 유튜브에는 눈물로 찍은 폐업동상이 수시로 올라오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한 정부의 과제에 대해 국민 10명중 3명이 ‘일자리 창출·고용 안정성 강화’을 꼽고 있다. 고용의 질은 고사하고 이젠 모두가 지금 당장 먹고 사는 문제가 걱정이란 호소다.
정부도 위기 상황을 인정하곤 있다. 경제안정화를 위해 이번 주부터 주요 산업계와의 간담회를 통해 의견을 수렴키로 했고 고용유지를 위해 노사 간 연대와 협력을 강조하고 고용을 유지하는 기업에 대해 우선적인 정부지원을 약속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런 조치가 고용시장의 불안을 잠재우고 경제충격을 최소화하기위한 실천적 대안은 아니다. 당장 눈앞에 닥친 위기를 넘기는 것처럼 보일 순 있지만 이건 그 때 뿐이다. 공직사회가 아직 시장 흐름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단 목소리가 높은 이유기도 하다. 보다 공격적인 재정투입을 위한 긴급조치 마련에서부터 내수활성화나 투자촉진을 위한 제도개선 등을 포함한 근본적인 정부 조치가 시급하다. 무너진 가계와 위기의 기업을 구제하기 위한 신속한 대책이 마련되지 않을 경우 실물부분의 위기가 금융위기로 이어지는 건 시간문제란 경고를 귀담아 들어야 한다. 모든 여력을 동원한 공격적인 대응책을 지금 서둘지 않을 경우 한국경제는 정말 심각한 위기에 직면하게 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