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총선에서 민주당이 압승하면서 전북의 정치 지형도 여당 중심으로 크게 달라졌다.

달라진 전북 정치의 지형만큼 당선인들에게 거는 기대도 크지만 이들이 내세운 공약 중에는 과연 현실성이 있기는 한 건지 의문이 드는 것들도 많다.

일부 몇몇 후보를 제외하고는 공약 실현성을 담보하는 구체적인 재원 조달 방법 등 여러 부분에서 명확한 방안을 내놓지 않았을 뿐더러 자치단체의 현안과 겹치는 사업도 다수 포함됐다.

특히 지역 특성과 산업 기반 등을 따지지 않고 지역 간 경쟁과 갈등을 부추길 수 있는 민감한 사안들도 다수 포함돼 애초부터 실행에 옮기기 어려운 공약이라는 지적도 있다.

실제 지역 발전을 위한 특별 처방이 필요하다며 도청사 이전 공약을 내세웠나 하면은 공공기관 추가 이전 시 자기 지역구에 유치하겠다는 등의 공약도 제시됐다.

하지만 지역과 중앙정부간의 협의가 돼 설사 추진된다 해도 무리하게 특정 지역으로 ‘이전하겠다’, ‘유치하겠다’고 하는 것들은 실현 가능성이 낮다는 대체적인 시각과 함께 큰 혼란과 갈등만을 불러올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또한 당선인들이 제대로 된 공약을 준비했다고 하더라도 국회 등원 이후 모든 공약을 이행하는 것이 쉽지 않다.

실제 지난 19·20대 국회 전북지역 의원들의 공약 이행률을 보면 잘 알 수 있다.

한국매니페스토본부가 20대 전북 국회의원 10명의 공약에 대한 이행평가를 실시한 결과 완료된 공약은 42.62%에 그쳤다. 추진 중인 공약은 44.30%, 보류 7.38%, 폐기 3.69%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실상 절반에 가까운 공약이 휴지조각 신세가 된 셈이다. 이와 같은 결과를 과거와 비교해보면 지난 19대 국회 완료율 54.03%보다 11.41%가 더 낮았다.

따라서 당선인들이 21대 국회 등원에 앞서 자신들이 내건 공약에 대한 철저한 재검토와 보완작업을 벌여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표심을 겨냥한 사탕발림 공약을 내걸고 정작 당선되면 약속을 잊어버리거나 이행 자체가 불가능해 시도조차 못하는 사례가 적지 않기 때문으로 장기 공약과 단기

공약으로 구분하는 등 실현 가능한 공약으로 전환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도내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선거운동 중에 화려한 공약을 제시해 놓고 보자는 식의 과잉 의욕이 있었음을 부정할 수는 없을 것”이라며 “당선인들 스스로 차분히 따져 이뤄야 할 것과 이뤄낼 수 있는 것과의 괴리를 깊이 살펴 진정으로 지역의 미래를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김대연기자·red@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