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고 없는 도시’를 선언한 전주시 의지에 관내 기업들의 동참이 어어지고 있다. 코로나19 사태로 시작된 심각한 경제위기가 기업의 인원감축으로 이어져선 안된다는 전주시의 ‘해고없는 도시’ 상생협약에 관내 175개 사업장이 고용유지를 약속한 것이다. 79개 업체가 13일 협약식을 갖고 코로나19가 종식될 때 까지 단한명의 근로자도 해고하지 않기로 한데 이어 나머지 96개 사업장과도 조만간 협약을 맺기로 했다. 전주시 역시 고통분담 차원에서 다음달 까지 500억 원 규모의 고용유지 특별지원금을 조성, 이들 기업에 지원키로 방침을 정했다.
특히 전주시의 해고 없는 도시 선언이 상징적인 의미에 그치지 않고 전국 모든 지자체로의 확산을 통해 실질적이고 모범적인 코로나극복 사례중 하나의 표본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정부 약속도 다시 확인되고 있다. 전국최초 ‘해고 없는 도시’ 선언을 지원하기 위해 12일 정부관계자들이 직접 전주를 찾아 노사정 전문가들과 간담회를 개최한 것이 그것이다. 이 자리에서 대통령직속 자문기구인 경제사회노동위원회 문성현위원장은 고용을 유지 하면서 기업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기업·근로자·지역사회가 함께 하는 협력 사업들에 대한 정부차원의 협력을 재차 다짐했다. 모든 경제주체들이 고통스럽지만 ‘일자리 지키기’에 동참하겠다고 나서는 것은 큰 힘이 되는 만큼 정부도 이에 보조를 맞춰주겠단 의미로 받아들여진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0일 취임 3년 연설에서 공식화한 전 국민 고용보험 단계적 추진이 '해고 없는 도시' 상생 실험과 맥이 닿아 있다는 점에서 전주시의 선도적인 고용사각지대해소 정책이 다시 주목을 받고 있다.
물론 갈 길은 멀다. 해고에 무방비인 영세중소기업이나 소규모사업장이 절대다수를 차지하는 전북 고용시장 특성상 그 효과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기에 더욱 그렇다. 정작 고용안정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사업장에 이를 요구하기엔 역부족 이란 지적도 나온다.
그러나 모두가 인정하는 힘들고 어려운 길이지만 가야할 길임이 분명하기에 기업의 동참을 끌어내기 위한 지자체와 정부의 보다 적극적이고 효과적인 정책적 보완작업이 시급하다. 지금의 코로나19위기는 물론 그 이후 한국경제의 안정화를 위해서라도 분명한 의지를 보여야 하는 이유다. 최악의 실업률이 이미 현실이 됐고 모두가 힘을 모아도 쉽지 않은 상생이지만 힘없는 약자에게만 고통이 더해지는 상황은 이제 없어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