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가 이미 초고령화 사회에 접어들었음에도 고령자들이 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각종 기반이나 기초시설 확충에 대한 관심이 저조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고령인구 급증에 맞춘 고령화대책 수립에 대한 전국 지자체 관심이 ‘고령친화도시’ 정착을 위한 중장기계획 수립 등으로 이어지고 있지만 정작 전북도의 관심은 이에 미치지 못하고 있어서다.
고령친화도시는 WHO(세계보건기구)가 지난 2007년 ‘국제 고령친화도시 지침’을 발표하고 8대 영역을 제시하면서 관심을 받기 시작했다. 사회의 절대적 도움을 필요로 하는 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도시환경을 개선하고 교통과 주거, 건강 돌봄, 안전, 존중, 그리고 이를 지원하는 사회경제적 환경 편의를 높여 노년 삶을 보다 편안하게 할 수 있는 도시환경을 만들자는 게 핵심이었다. 각국 지자체가 필요성을 인정하면서 전 세계적 협력조직인 고령친화도시 국제네트워크엔 지난해 말 현재 41개국 1,000여개 도시가 가입하여 상호 교류를 확대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서울과 부산 세종시 등이 가입, 활발하게 고령친화도시를 정책 사업으로 진행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고령인구비율이 2019년 현재 20.40%로 전국 17개시·도 중 세 번째로 높은 전북도의 경우 이들 지자체에 앞선 고령친화도시 조성을 위한 적극적인 관심과 체계적 정책추진이 필요함에도 아직 이에 대한 관심조차 보이지 않고 있다. 고령화비율이 높지 않은 도시화된 지자체보다도 적극성이 떨어진다는 분석이 가능하기에 아쉬움을 준다. 2040년이면 전북고령인구가 무려 70만6000만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기에 선제적 대응이 절실하다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전북연구원은 21일 이슈브리핑을 통해 ‘활동적인 노화’를 촉진할 수 있도록 고령친화도시 정책 및 사업에 속도를 내야 한다면서 필요한 재원의 선반영을 강조했다. 고령친화 은퇴자 체류도시로 모델링해 노인들의 안정적 정착을 돕고 고령친화도시 국제네트워크 가입을 통해 교류확대를 통한 모범사례도입도 서두를 필요가 있음을 지적했다. 고령친화도시 조성이 필수적 정책과제임을 다시 한 번 역설한 것이다.
100세 시대를 맞아 나이 들어가는 것이 즐거울 수 있는 도시를 만드는, 절대 쉽지 않은 일이 최대 과제가 됐다. 그리고 이에 적극 대응하지 않으면 초고령화도시 전북은 없을 수도 있음이다. 전북 특성에 맞는 고령친화도시 조성, 지금 나서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