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를 찾아 전북을 떠나는 청년들의 숫자가 줄어들지 않고 있다. 수십 년간 지속되고 있는 청년인구의 순유출 가속화는 결국 도내 모든 지자체가 예외 없이 일자리 늘리기를 최우선 정책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하지만 효과가 없음을 확인케 했다는 점에서 백약이 무효인 상황에 대한 특단의 대책이 시급하다. 
호남지방통계청은 지난 26일 ‘2000년 이후 20년간(2000~2019) 전라북도 인구이동추이’란 자료를 통해 전북의 최근 20년간 10~30대 연령층에서 꾸준한 ‘탈 전북’이 있었으며 지난해만 해도 10대에서 1천290명, 20대 9천689명, 30대 2천130명의 순유출이 있었던 것으로 집계했다. 50대와 60대 이상을 제외한 전 연령층에서 인구가 줄어든 것으로 지역별로도 전주를 제외한 13개시군 모두에서 젊은 청년층의 인구감소세가 두드러졌다.
특히 군 단위 지자체는 물론이고 익산시와 남원시,정읍시의 경우 2000년 이후 지속적인 인구 순유출을 기록하고 있다. 젊은층을 중심으로 한 인구유출이 통계로 잡은 20년 동안 꾸준히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 지난해 전북을 떠난 출향민이 향한 곳은 서울이 4천209명, 경기가 3천626명, 대전이 1천31명에 달해 청년층을 중심으로 직업과 학업을 위해 대도시로 떠난 인구가 대부분이란 분석이 나오고 있다. 한때 250만 명에 달했던 전북인구가 180만명 붕괴를 걱정해야할 상황을 맞이할 수밖에 없는 현실이고 이중 가장 핵심인 젊은층의 ‘탈전북’이 결국엔 ‘직장 찾아 수도권으로’에 기인했던 것이다.
전북도를 비롯해 도내 지자체들이 양질의 일자리 제공을 위해 기업유치전에 나서겠다는 의지를 수도 없이 표명했고 또 ‘돌아오는 전북’을 위해 귀농귀촌 정책의 활성화를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기도 하다. 하지만 그동안의 모든 정책에도 인구 순유출이 계속되고 있는 건 결국 정책의 실패를 의미한다. 더욱이 부족한 양질의 일자리 문제는 전북뿐 아니라 전국의 비수도권 지자체 대부분이 겪고 있는 문제란 점에서 이들 지자체와 비교될 수 있는 특단의 일자리 경쟁력 확보를 위한 대책마련이 현안이 되고 있다. 
이대론 안 된다. 전북인구 순유출에 따른 지역 소멸을 대비해야 한다는 경고가 현실로 다가 오고 있다. 20년을 계속했음에도 효과 없는 대책들에 대한 철저한 점검이 필요하다. 모든 행정력, 정치력을 동원한 중장기 대책의 수립은 물론, 당장의 일자리 발굴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서둘러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