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대 국회임기가 시작됐다. 국정현안의 슬기로운 해법제시에 대한 국민적 기대에 여야 모두가 ‘협치’를 강조하고 ‘일하는 국회’를 약속하며 지난 30일 4년의 첫 발을 내딛었다.
하지만 이번 국회 역시 여야가 원구성 협상을 놓고 벌써부터 신경전이다. 여당이 원내 절대다수를 차지한 만큼 상임위원장은 이에 비례해 배정해야 한다는 민주당에 대해 ‘협치의 준비가 안됐다’는 통합당 반발이 첨예하게 맞서있기 때문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28일 더불어민주당 김태년, 미래통합당 주호영 원내대표와 청와대에서 만나 "국회가 제때 열리고, 제때 법안처리 등을 해주시면 업어드리겠다"며 국회의 협력을 요청할 정도다. 너무도 당연한 정상적인 국회개원이 우리에게 있어선 ‘난제’가 되고 있는 것이다.
코로나19가 한국은 물론 전 세계를 위기의 상황으로 몰고 가며 사상 유례없는 긴장감에 빠져들게 하는 상황이다. 경제가 바닥이 어딘지 모를 만큼 가라앉으며 국민적 고통이 가중되는 위중한 실정이다. 21대 국회가 역대 그 어떤 국회보다도 대화와 타협을 통한 협치, 그리고 이를 통한 국민통합을 위해 앞장서야 할 이유가 여기에 있다.
국회의원 임기 시작 후 7일째 되는 날 개원해 의장단을 선출하는 국회법에 따라 이번에는 날짜를 지키자고 하자 의장이 선출되면 상임위 강제 배정 가능성이 있다며 반대하고 상시 국회, 법사위체계·자구심사권 폐지 등을 통해 일하는 국회를 제도화 하자고 제안하자 국회의 졸속입법이 우려 된다며 거부 입장을 밝히며 대립하는 여야에 대해 국민의 불안이 다시 커지고 있다. 협상과정에서의 의견대립은 필연적이라 하지만 역지사지 않는 협상의 결말은 파국이란 점을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더구나 지금은 모든 국민이 경험해 보지 못한 국가적 위기 상황 아닌가.
여소야대 구도를 통해 여당에 힘을 몰아준 건 강력한 의지로 소신껏 일을 해보라는 의미도 있지만 그 힘 만큼에 비례해 큰 통합과 큰 리더십을 통해 안정된 정치를 주도하라는 뜻이었다. 발목잡고 딴죽 건 구태 야당 정치에 대한 반성의 시간이 필요하단 의미도 이번 선거에서 나타난 민심이었음은 물론이다. 국회가 국민의 걱정의 대상이 돼왔던 과거를 되풀이해선 안 된다. 일하는 국회를 만들어 경제와 민생을 살리라는 국민의 명령을 실천하는 제대로 된 국회 모습을 국민은 보고 싶다. 국가위기 상황에서 여야 정쟁은 국민을 배신하는 행위임을 21대 국회는 명심해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