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2일 한국이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초청된 것에 대해 “문재인 대통령의 방미가 성사된다면 G7 옵저버로 가는 일시적인 성격이 아니라 G11 또는 G12라는 새로운 국제체제의 정식 멤버가 되는 것”이라고 의미를 밝혔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전날 밤 한·미 정상 통화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9월 이후 미국에서 열리는 G7 정상회의에 한국도 참석해 달라”는 초청제안을 전격 수용했다.

또한 두 정상은 기존 G7이 현재의 국제정세에 대응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데 공감하고, G11 또는 G12로 확대하는 것에 의견을 모았다.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이와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의 표현을 빌면 이제 세계의 외교질서가 낡은 체제인 G7에서 G11, G12로 전환하게 될 가능성이 커진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국이 세계질서를 이끄는 리더국 중 하나가 된다는 의미”라며 “국격 상승과 국익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G7 회원국은 미국과 일본,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캐나다 등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여기에 한국을 포함 러시아, 인도, 호주를 올해 G7 회의에 초청하겠다는 뜻을 문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공식 피력한 것이다.

강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이 G7외에 한국, 러시아, 호주, 인도 등으로 참여국을 확대할 의사를 밝힌 뒤 가장 먼저 전화를 걸어온 것이 문 대통령이었다”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의 발표로 G11, G12 확대를 공식화하려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G7 체제 확대를 모색하는 것은 중국을 견제하는 차원일 수 있는 만큼 한국의 정상회의 참석에 중국이 반발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이에 대해 대중관계에 영향이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 관계자는 "한미정상 통화에서 중국과 관련한 언급이 일절 없었다. 중국도 아직 반발하지 않고 있다"며 "문 대통령은 ‘G7 확대정상회의가 포스트 코로나의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했는데, 이 발언의 의미를 새겨 달라"고 말했다.

/청와대=최홍은기자·hiimnews@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