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곡연구원(원장 박원재)이 율곡에 대한 자료를 집대성한 21세기 판 율곡전서 <교감본 율곡전서>를 펴냈다.

3권 1질로 구성된 <교감본 율곡전서>는 전주대학교 한국고전학연구소에서 수행한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연구(연구책임자 오항녕 전주대 교수)의 성과이다.

이 연구는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주관하는 ‘한국학 분야 토대연구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2013년부터 2016년까지 3년간 진행됐다. 연구단은 3년 동안 90여만 자에 달하는 ??율곡전서>를 10여 종의 비교본과 일일이 대조 확인해 <교감본 율곡전서>를 완성했다.

교감과 표점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해 10여 차례에 걸친 워크숍을 개최했으며, 교감 범례를 작성하여 교감의 정확성과 통일성을 제고하였다. 특히 작품별로 자료의 연혁과 작성 시기 등 연대 고증을 포함한 저작보(著作譜)를 추가 제공함으로써 율곡의 행적과 교류 등을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했다.

율곡 사후 그의 저술에 대한 간행 작업은 지금까지 모두 네 번 있었다. 율곡이 세상을 뜬 지 27년 뒤인 1611년(광해군3)에 간행된 <율곡집>이 첫 번째이다. 율곡의 제자인 박여룡(朴汝龍), 김장생(金長生) 등이 해주에서 목판본으로 간행하였다. 그러나 이것은 시집 1권과 문집 9권으로 이루어진 소략한 분량이었던 까닭에 1682년(숙종8) 박세채(1631~1695)가 초간본에서 누락된 것들을 모아 속집 4권, 별집 4권, 외집 2권의 분량으로 재편집하여 간행하기에 이른다.

그러다가 1749년(영조18) 노론-낙론계 거두인 도암 이재(1680~1746)가 기존의 문집을 한 데 모은 뒤 여기에 <성학집요>와 <격몽요결> 등을 추가하여 편찬한 뒤, 홍계희가 습유를 추가하여 44권 38책으로 간행하였다. 이것이 현재 전해지는 <율곡전서>의 모본인데, 이 판본은 1814년(순조14)에 다시 중간되었다.

<율곡전서>는 중국 송나라 학자였던 정이와 정호 형제의 문집인 <이정전서(二程全書)>의 체제를 본뜬 것이다. 시문과 함께 <격몽요결>, <성학집요>, <경연일기> 등 율곡의 단독 저술을 망라하여 <율곡집> 또는 <율곡선생집>이 아닌 <율곡전서>라고 부른 것이다.

하지만 이 <율곡전서>는 이전에 전해지던 모본문집들과 차이가 있었고, 일부 작품이 새롭게 추가되는 등 자료의 연혁에 대한 이해가 쉽지 않은 한계가 있었다.

<교감본 율곡전서>는 이런 점들을 감안하여 1611년에 간행된 <율곡집>과 1682년 박세채가 편성·간행한 <율곡속집>, <율곡외집>, <율곡별집> 등에 수록된 작품들 또한 <율곡전서>의 동일 작품과 일일이 대조하면서 교감을 거쳤다.

그리고 편집 체제는 이재의 <율곡전서>의 기본 편성을 유지하되 교감을 통해 오탈자를 바로잡았고, 한국고전번역원(원장 신승운)에서 제공한 ‘한국문집 번역·교점 지침 및 사례’에 따라 현대식 표점(標點)도 표시하여 전문 학자의 연구에 기여하고자 했을 뿐만 아니라, <율곡전서>의 국제화에도 편리하도록 했다.

전주대 오항녕 교수는 “집을 지을 때 좋은 벽돌과 나무가 필요하듯이, 인물 연구에는 그가 남긴 문집에 대한 믿을 수 있는 정본(正本)이 필요하다. 칸트나 마르크스 연구도 그들의 저술을 정본화하는 데서 출발하였다. 근래 퇴계 이황, 다산 정약용에 대한 정본화 연구가 진행되는 것도 이 때문이다. <교감본 율곡전서>는 율곡 이이의 역사적 위상에 걸맞는 정본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었다”라고 그 의미를 부여했다.
/이병재기자·kanadasa@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