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과 후 초등학교 돌봄 확대를 위한 지자체와 교육당국의 보다 적극적이고 선제적인 정책적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초등 돌봄에 대한 수요와 만족도는 크게 높은데 반해 이를 수용할만한 시설이나 준비가 따라가지 못하면서 초등돌봄공백이 심각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특히 돌봄 사업주체가 전북도와 전북교육청으로 이원화되면서 나타난 업무협조 한계 역시 효율적인 돌봄 사업 추진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전북도의회 이병철의원은 지난11일 도의회정례회 도정질의를 통해 아동·청소년 돌돔체계의 통합정보망을 구축하고 전북도가 허브역할을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돌봄 통합관리를 통해 보다 효율적이고 능동적인 사업추진과 함께 수요 확대를 수용해 달라는 학부모들의 요구를 외면하지 말라는 것이다. 실제 학교 돌봄이나 지자체가 중심돼 운영 중인 지역아동센터, 다함께 돌봄 센터 등에 대한 주민만족도는 공기관에 의한 운영이라는 믿음이 더해지면서 거의 절대적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높다.
특히 학교 돌봄은 어린아이들이 학교를 벗어나 다른 돌봄 장소로 이동해 부모를 기다리는 이중의 불편함과 이동에 따른 위험을 감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학부모들이 선호할 수밖에 없다. 이의원이 지자체 마을 돌봄 확대를 위해 도교육청이 학교 내 유휴공간을 마을 돌봄 공간으로 적극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한 것은 이 같은 학부모들의 바람이 있어서다.
교육과 보육 영역이 어디까지인지를 놓고 마찰이 있는 학교의 부담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방과 후 돌봄이 없으면 갈 곳이 없는 아이들이다. 밀어내지 말고 품어야 하는 이유다. 학교의 부담도 줄이고 학교 내 돌봄을 선호하는 부모들을 위해 성남시가 경기도교육청과 업무협약을 맺어 관내 초등학교 유휴시설을 무상으로 임대받아 시립아동센터를 설치했고 서울 중구 청은 남산초등학교의 한교 안 돌봄 교실 5개와 학교 밖 돌봄센터 6개를 직영중이다. 도봉구는 2017년부터 전국지자체 최초로 학교의 방과후 학교를 직접운영하고 있기도 하다. 학교와 마을을 연계, 주민들을 ‘마을 강사’로 활용하고 있기도 하다.
송하진 도지사가 행정여건을 감안, 적극 검토를 약속했고 김승환교육감 역시 교내 유휴시설 활용에 동의했다. 양 기관의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협의가 결실을 맺은 ‘보육1번 도시 전북’을 기대해 본다. 아이키우기 좋은 도시란 곧 살고 싶은 지역이란 의미 아닌가. 전북의 밝은 미래를 향한 첫 걸음이 여기서 시작될 수도 있음이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