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만승 건국대 소셜에코텍연구소 수석연구위원. 전 한국국토정보공사 부사장

코로나19로 인해 재택근무와 비대면 문화가 확산되면서 일회용 플라스틱 쓰레기가 급증했다. 코로나 감염을 우려해 플라스틱 용기 사용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업계는 플라스틱 쓰레기를 줄이고자, 자치단체는 쓰레기의 효율적인 처리 방안을 마련하고자 골몰하고 있다.

여기서 새롭게 조명된 기술이 ‘디지털 트윈’이다. ‘디지털 트윈’은 가상공간에 실물과 똑같은 물체를 만들어 다양한 모의시험을 통해 검증하는 기술이다. 예를 들어 생수병의 플라스틱을 5%, 10%씩 줄여 용기가 얇아질 경우 공장에서 판매점까지 어떤 경로에서 무슨 문제가 생길지 가상으로 테스트해볼 수 있다. 또한 효율적인 쓰레기 수거를 위해 행정구역별 난이도를 산출해 서비스 개선방안을 도출할 수도 있다. 이런 이유로 정부나 업계에서 ‘디지털 트윈’을 활용한 ‘디지털 혁신’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최근 정부에서도 ‘디지털 혁신’의 일환으로 ‘디지털 뉴딜’의 청사진을 제시했다. ‘디지털 뉴딜’은 디지털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으로, 5G 인프라 조기 구축과 데이터를 수집·축적·활용하는 인프라 구축을 통해 국민 편익을 높이고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도시와 산단, 도로와 교통망, 노후 SOC 등 국가기반시설에 데이터와 디지털 기술을 결합하여 세계를 선도하는 ‘디지털 강국’으로 대한민국을 도약시키고자 한다. 이는 정부가 그동안 강조해온 ‘데이터 경제’의 확산과도 무관하지 않다. 여기서 정확한 위치 기반의 빅 데이터를 담아낸 ‘공간정보’와 ‘디지털 트윈’ 은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인프라이자 기술로서 두각을 드러내고 있다.

한국국토정보공사(LX)는 오래 전부터 사물인터넷·드론 등을 활용해 디지털 국토정보를 구축하는 데 공을 들여왔다. LX는 2012년부터 일제가 토지수탈과 세금징수를 위해 제작한 종이지적도를 디지털 지적으로 제작하는 ‘지적재조사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전국 3700여만 필지 가운데 554만 필지(약 15%)가 지적도와 일치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100년 전 낙후된 기술과 정보로 작성된 종이지적도를 디지털화해서 국토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공간정보산업 토대를 닦는 것이 매우 중요해졌다. 무엇보다 지적재조사가 이뤄지면 국민은 실시간으로 갱신되는 정확한 국토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토지 분쟁이 감소하고 활용하기 어려운 땅도 줄어든다. 경북 영주 후생시장은 도시재생뉴딜과 결합한 지적재조사를 통해 주민들의 토지소유권 분쟁이 정리되고 구도심의 낡은 주거복지를 개선할 수 있었다.

LX는 또한 2년 전부터 전주시와 함께 ‘스마트시티 디지털트윈 실험사업’을 추진했다. 이 과정에서 미세먼지 저감, 불법 주정차 해소, 노후 건축물·화재 안전 관리 등 12가지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분석모형을 구축하고 특허를 출원해 관련 기술을 선점할 수 있게 됐다. 이러한 성과를 토대로 LX는 전주시 전역에 스마트시티 사업을 확대·추진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LX는 2015년부터 ‘지하공간 3D 통합지도’도 제작하고 있다. 공사는 ‘서울 석촌 지하차도 싱크홀’과 같은 안전사고 예방과 국토 관리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전국 특별시·광역시 27개시를 대상으로 지하시설물, 구조물 등 15종 정보를 통합한 ‘지하공간 3D 통합지도’를 제작해 자치단체에 제공할 방침이다.
글로벌 정보기술 자문업체 ‘가트너’는 3년(2017~2019년) 연속 ‘디지털 트윈’을 주요 10대 전략 기술로 꼽았다.

더 나아가 2021년에는 대기업 중 절반이 디지털 트윈을 사용할 것이며, 이로 인해 기업의 효율성이 10% 이상 향상될 것이라고 관측했다.

따라서 정부가 추진하는 ‘디지털 뉴딜’이 성공하려면 ‘디지털 트윈’을 활용한 디지털 인프라 구축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는 ‘디지털 트윈’을 활용한 디지털 국토를 구현하는 LX의 역할이 매우 중요해졌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제는 LX가 국토정보를 가장 잘 아는 공공기관에서 디지털 국토를 가장 잘 구현할 수 있는 공공공기관으로 힘차게 도약해 나가야 할 때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