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조원이 지급된 긴급재난지원금이 대부분 소진되면서 경기가 다시 위축되는 분위기다. 활기를 찾는가 했던 지역상권에 다시 주민들의 발길이 뜸해지고 있는 반면 소비증가로 인해 급등했던 주요 물가만 제자리를 지키면서 이제는 가볍게 될 장바구니를 걱정해야 할 상황으로 까지 이어졌다.
코로나19극복을 위해 지자체지원에 정부의 긴급재난자금까지 더해지면서 위기의 골목상권과 지역경제는 적지 않은 도움을 받았던 게 사실이다. 동네마트를 비롯해 음식점, 주유소, 학원, 스포츠 전문점에 이르기까지 긴급재난 지원금 사용처 대부분이 모처럼 찾아든 손님들로 인해 한시름을 덜었다. 관내 주요 관광명소들 역시 재난지원금과 지역의 코로나19 확산세가 주춤한데 힘입어 주민들이 외부활동을 늘린데 따른 부가적인 효과를 체감할 수도 있었다. 주민들이  모처럼 심리적 부담 없이 지갑을 열었기에 가능했던 일이다. 
하지만 최근 8월말까지 사용토록 돼있는 긴급재난지원금을 사용한 가구들이 다시 지갑을 닫고 긴축생활에 들어가면서 지역경제가 코로나19 침체 수준으로 가라앉고 있다고 한다. 동네마트매출이 하루가 다르게 줄었고 전통시장이나 편의점, 음식점 역시 눈에 띠게 손님이 감소하고 있다. 외지 관광객의 발길이 끊겼던 전주한옥마을의 경우 잠시 도내 나들이객들이 들르며 활기를 찾는가 했지만 최근 전북에 코로나19 확진자가 나오면서 그나마 있던 발길마저 끊겼다.
더욱이 긴급재난지원금이 풀리면서 급등한 국내산 돼지·소고기 값이 이젠 소비자 부담으로 돌아왔다. 각종 채소를 비롯해 두부나 어묵 등, 소비자선호도가 높은 제품들 역시 한달 전과 비교 큰 폭으로 가격이 올랐고 이런 고공행진이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면서 ‘급등한 장바구니 물가’가 부담이 되는 상황을 맞은 것이다.
재난지원금이 경제를 회복시키는 것보다는 최악의 상황을 맞은 국민들을 위로하고 당장의 심각한 매출감소로 힘들게 하루하루를 겨우 버텼던 소상공인들에게 힘을 내라는 격려 의미이긴 했지만 예상했던 ‘반짝 효과’는 너무 쉽게 끝났다. 임기응변식 단기대책으론 결코 위기를 넘길 수 없음이 확인된 셈이다. 추가지원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지만 ‘공돈’으로 부추긴 소비 효과는 분명한 한계를 가진다. 코로나19는 종식이 아니라 다스리며 같이 가야 할 전염병일수도 있기에 더욱 그렇다. 아무리 급하다 해도 막연한 기대감만 심어주는 결정은 결국 득보다 실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신중해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