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 민주당이 제기한 ‘행정수도 이전’이 정치권 최대 이슈가 되고 있다. 김태년원내대표가 국회교섭단체 대표연설을 통해 국회·청와대·정부부처 모두 세종시로 내려가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촉발된 행정수도 논란은 21일 김 대표의 ‘행정수도 완성 특별위원회’ 국회 설치 제안에 이어 23일 ‘행정수도 완성추진단’을 출범으로 까지 이어지며 탄력을 받고 있다. 
특히 야당인 미래통합당 지도부가 ‘실패한 부동산 정책의 책임을 회피하려고 꼼수를 부린다’고 비판했음에도 정진석 의원은 국회·청와대·행정부처를 세종시로 옮기는 내용의 헌법 개정을 제안했다. 오세훈 전 서울시장까지 “깊이 있게 검토해볼 가치가 있는 화두”라고 평가하면서 행정수도 이전은 여야의 정치적 문제, 진보와 보수와의 대결을 넘어 지역 간, 세대간, 이해집단간의 갈등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리얼미터가 행정수도이전에 대해 지난 21일 전국성인남여 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53.9%가 이전에 찬성하고 수도권 보다는 지방에서, 노년층 보다는 젊은층에서 찬성률이 높을 만큼 입장이 갈리고 것에서도 이는 확인된다.
하지만 충분한 논의필요성은 물론 수도권 부동산 폭등을 잠재우고 반쪽에 머문 행정수도 완성, 그리고 국토균형발전을 위한 재시동의 의미를 갖고 있음에도 야당이 이를 정부 꼼수로만 치부하는 건 문제가 있다.
헌법재판소가 16년 전인 2004년 행정수도이전 위헌 결정 이유로 헌법에는 없음에도 서울이 수도라는 것은 조선왕조 이래 오랜 관습으로 형성된 ‘관습헌법’을 들었지만 지금 국민인식은 그때가 아니다. 그리고 국익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의 변화를 위한 충분한 가능성과 여지에 대한 공감대가 있기에 수도권과밀화 해소와 지역균형발전 차원에서 이 문제를 바라본다면 여야 정치권의 크나큰 간격도 쉽게 줄일 수 있음을 우리는 주목한다.
부동산실패를 가리고 선거를 의식해 행정수도 이전 문제를 꺼냈다면 비난 받아 마땅하지만 부동산정책의 정상화와 국가균형발전, 지방분권에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있음에도 반대를 위한 반대 논리를 들이댄다면 이는 안 될 일이다. 설사 국면 전환용 카드라 해도 특효약이라면 사용을 망설이지 않아야 할 만큼 상황은 심각하다. 희망을 잃어가는 젊은층과 수도권의 서민·중산층, 위축되는 비수도권 지자체 모두에게 희망을 줄 수 있는 길이 무엇인지 정치권은 진지하게 머리를 맞대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