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가 LH(한국토지주택공사) 제안에 따라 확정한 전주역 인근과 가련산공원의 민간임대주택공급촉진구 지정 취소 요구가 잇따르고 있다. 전주시가 아파트과잉공급에 따른 부작용을 우려해 촉진지구 지정 해제를 공식화한데 이어 전북지역 시민환경단체 역시 타당성과 실효성이 떨어지는 대규모주택공급을 중단할 것을 국토부에 요구했다.
LH가 계획 중인 이들 전주역세권 개발 규모는 계획인구 2만374명에 지어질 주택 수만도 7834호에 달한다. 전주효천지구 보다 1.6배나 면적이 크고 주택수로는 만성지구 보다 2355세대가 많은 대규모단지다. 전주시 인구가 사실상 정체상태에 접어든 상태에서 인근 신도시나 대규모아파트 단지가 조성될 때 마다 도심 공동화가 심해지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음에도 또다시 대량의 주택공급공사가 추진되고 있는 것이다.
벌써부터 전주역세권 개발이 인근 우아동이나 인후동 지역 주택공실률을 높이고 지역은 다시 쇠퇴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신규 인구유입에 따른 주택 늘리기가 아니라 기존 거주지를 옮기는 수준의 집단 단순 이주 주를 이룰 수밖에 없는 아파트공급확대사업이기 때문이다.
사업을 좀 더 세밀하게 살피지 않고 사전 협의과정에서 이를 동의해준 전주시에 물론 1차 책임이 있다. 하지만 잘못된 결정임을 파악하고도 이를 방관, 더 큰 화를 막기 위해 비난을 감수하고 촉진지구 지정해제를 요청한 것은 늦었지만 다행이다.
혼란과 갈등이 가중될 수밖에 없는 민감한 사안임에도 전주동부권 교통 혼잡이 뻔하고 원도심공동화, 각종 세 부담 증가가 불가피한, 결정적으로 득보다 실이 많은 사업이란 결정을 내렸다면 분명한 당위성을 설명하고 원점에서 재검토 할 수 있도록 설득해 나가는 게 맞다. 더구나 LH가 무주택 서민과 청년 주거복지 차원에서 임대아파트 중심의 개발을 추진하겠다고 했지만 계획에 공공임대주택은 1613세대에 불과해 사업취지에도 맞지 않는다. 
인근지역 인구감소와 이로 인한 지역슬럼화를 희생양으로 삼아 추진되는 택지개발사업은 신중해야 한다. 무작정 아파트만 질게 아니라 타지자체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공공휴식공간 확대를 포함한 관광산업 개발 등 다양한 가능성의 확대로 사고를 넓혀야 한다. 모든 사업추진에는 찬반이 있게 마련이다. 그러나 당장의 이해관계가 아닌, 지역 미래를 위한 큰 그림을 그리는데 주저해선 안 된다. 전주시 결정과 의지를 주목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