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입학 정원이 학령인구보다 많은 역전현상이 시작되면서 전국 지방대학 3곳 중 한곳이 4년 뒤면 신입생정원의 70%도 채우지 못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교육부가 대학혁신지원 방안을 마련하고 대학들도 스스로 정원감축 등의 자구노력에 나섰지만 학령인구 자체가 줄어드는 근본적인 문제의 현실화란 점에서 특단의 대책이 없는 한 심각한 부작용을 가져올 수밖에 없는 지방대 폐교는 조만간 현실이 될 전망이다.
최근 대학교육연구소는 ‘대학 위기 극복을 위한 지방대학 육성 방안’ 보고서를 통해 오는 2024년이면 서울·인천·경기 등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 대학 220곳 모두가 정원 미달이 될 것으로 예측했다. 이중 신입생 정원을 70%도 채우지 못한 대학이 전체의 34.1%인 85곳으로 예상됐고 이중 11.8%인 26곳은 절반의 신입생도 확보하지 못할 것으로 봤다. 
특히 전북을 비롯해 광주·전남 등 호남권의 경우 4년 뒤 입학생 감소율은 22.5%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이는 지역 청년층의 수도권으로의 인구 순유출이 극심한 것과 궤를 같이 하는 것으로 도내 대학들이 전국 지방대 중에서도 가장 빨리 위기국면을 맞을 수밖에 없음을 예고하는 걱정스런 결과가 아닐 수 없다.
학생수 감소는 대학재정의 위기를 불러올 수밖에 없고 급격한 교세위축은 열악한 신입생경쟁력을 더욱 악화시킨다. 최근 코로나19로 해외유학생유치가 힘들어 지자 충원률을 높이기 위해 교직원 지인들의 명의로 허위입학생을 만든 혐의로 강원도의 한 대학 관계자들이 기소되는 경우까지 있었다. 지역 경제력을 키우고 이를 위해 지역대학들과 연계한 다양한 프로젝트 개발 등의 노력이 시도되고 있지만 당장 하루가 급한 상황에 대학들의 자구책이나 지자체 협력만으론 절대 해결될 문제가 아닌 것이다.
그렇다고 시간이 많지도 않다. 당장 4년 후 지금보다 신입생이 20%이상 줄어든다는 것이 이미 수치로 확인됐다. 부실이 심각하게 진행중인 학교가 적지 않아 사전에 이를 도려내 피해의 추가 확산을 차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올 만큼 지역 대학은 벌써 위기다. 지원을 통해 회생가능성이 있다면 이를 서둘러야 하고 정리가 필요하다면 과감한 행정적 수단을 동원한 구조조정에 나서야 하는 이유다. 서남대 사태에서도 확인했듯이 대학 폐교가 가져오는 유무형의 지역의 피해는 대학 규모에 상관없이 막대하다. 지방대위기가 필연이라면 그 피해라도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을 지금 서둘러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