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농업의 미래는 4차 산업 혁명 기술이 농업에 접목된 스마트 팜의 육성과 발전, 정착을 통해 그려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본보가 전북개발연구소, 전북대학교가 공동주최한 ‘포스트코로나 스마트 팜 발전과 전략’ 포럼에서 참석자들은 전북이 갖고 있는 풍부한 농업 인프라를 활용, 10년 후 농업인 40명이 지금의 100명분농업을 책임져야 하는 상황에 선도적으로 역할을 담당해야할 준비를 지금 시작해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전북은 오랜 기간 농업을 중심으로 발전해온 지역이지만 60년대 이후 산업화의 그늘에 가려진 농산업육성 외면정책으로 심각한 타격을 입었고 지역 경제력 역시 상당기간 침체국면을 벗어나지 못했다. 그리고 그 여파는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위기를 기회로 삼자는 전북도의 지속적인 노력은 작지만 강한 농업인 ‘강소농’을 주목하게 했다. 미래 먹을거리에 대한 중요성은 농업을 다시 부활시켰고 최근엔 농생명산업으로 몸집을 키웠다. ‘안전한 양질의 먹을거리’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농업에 대한 꾸준한 투자와 기술개발을 더한 전북이 농업으로 다시 주목받고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전북은 농진청, 정읍방사선육종거점, 김제 민간육종 거점 등을 확보한 종자 핵심 지역이다. 농기계와 미생물, 식품 등을 한데 묶은 융복합벨트 조성을 추진 중이고 전국최고수준의 첨단농업교육시스템도 갖췄다. 추진의지만 분명히 해도 전북은 신품종 개발, 첨단농업 클러스터 구축, 그리고 이를 운용할 우수인력 확보가 당장 가능하다. 스마트 팜 적극 육성을 위한 기초시스템을 완비한 상태란 것이다.
농업시장개방 확대와 현실로 닥친 농업인구 감소·고령화, 그리고 영세한 영농규모 등은 농업의 지속성장을 가로막는 요소다. 급변하는 농업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 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선 경험과 직관의 농업이 아닌 최고 수준의 정보통신 기술을 접목한 농업으로 전환이 급선무란 지적은 그래서 설득력을 얻는다.
포럼 참석자들은 전북이 추진 중인 스마트 팜 관련 사업들에 대해 잘 꾸려지고 있다는 긍정평가를 내렸다. 코로나19이후 스마트 팜이 각광을 받을 수밖에 없을 것이란 전망에도 이견이 없었다. 생산효율성 극대화를 통한 미래농업육성에 박차를 가할 수 있는 국가와 지자체, 유관기관 모두의 지원과 협력이 필요한 시점이고 또 반드시 가야할 길이란 의미다. 전북이 가장 앞이다. 이를 지켜나가기 위해서라도 반드시 그렇게 해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