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인한 경기불황에 주식투자와 내 집 마련을 위한 영혼까지 끌어 모은 ‘영끌’ 자금수요로 인해 우리나라 가계·기업 부채 규모가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한국은행은 ‘2020년 9월 금융안정 상황’보고서를 통해 올해 2분기 말 민간의 빚은 국내총생산(GD)의 206.2%로 나라경제 규모 두 배를 넘어섰다고 밝혔다.
기업은 물론 소상공인·자영업자의 자금난이 부채를 늘렸고 경제 불확실성에 위기를 느낀 일반인들의 빚투(빚을 낸 투자)가 가세하며 신용공급이 급상승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정부가 대출급증 위험성 단속 차원에서 지난 8월말 5대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을 규제하자 불과 8일 만에 신용대출이 1조1천4백여 억 원이나 급증할 만큼 민간부분 대출증가세는 여전하다.
코로나19 장기화 직격탄을 맞아 생계유지를 위해 대출이라는 최후수단을 통해 가까스로 지탱해가는 서민의 어려움을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인 반면 이상과열에 대한 경고가 계속되고 있는데도 증시에 여전히 뭉칫돈이 몰리는 것은 심각한 우려가 아닐 수 없다. 지금 아니면 영원히 내 집 마련은 불가능할 수 있다는 패닉수준의 주거불안 급박함이 부동산투자 '영끌’로 확산되는 것 역시 경제를 위협하는 뇌관이다.
더욱이 정부와 금융권이 최근의 힘든 경제 상황을 감안해 원리금 상환을 유예하고 최저금리를 유지하는 등 금융지원확대조치 기조 유지로 현상유지를 하곤 있지만 경제 환경이 급변할 경우 감내해야할 파장은 상상 이상으로 심각할 수 있다. 
가계부채 연체율이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안심해선 안 되고 주식시장이나 부동산시장 거품이 꺼지면서 발생할 자산 가격 하락 등에 대비한 적극적인 대출관리를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이 설득력을 얻는 이유다.
국내 가계 빚이 GDP 대비 97.9%로 세계 최고 수준이라는 국제결제은행(BIS)의 경고까지 나왔다. 해외에서 우리의 가계 빚을 걱정할 정도로 상황이 가볍지 않음에 긴장해야 한다. 어려운 시기에 좀 더 수익을 내기 위해 위험한줄 알면서도 다양한 투자처를 찾아 나선 민간의 자본을 옥죄는 것은 물론 맞지 않다. 하지만 눈에 보이는 위험한 과열 투자 흐름을 방관하는 것 역시 경계해야 한다. 급증하는 빚은 당사자들의 부담인 동시에 국가 경제회복의 의 발목을 잡는 걸림돌하다.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의 효율적인 빚 관리. 지금 시작해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