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 수 감소에 존폐위기에 몰린 지방대들이 그나마 등록을 마친 재학생들의 수도권 소재 대학으로 진학에 따른 자퇴 급증으로 더욱 급격한 위기를 맞고 있다.
전북대의 경우만 해도 최근 3년간(2017~2019년) 자퇴생수가 1653명에 달했다. 대학교육 알리미에 공개된 자료로 이는 지방 주요 9개 국립대 가운데 경북대 2050명, 부산대 1679명 다음으로 많은 숫자다.
특히 이들 주요국립대의 연도별 자퇴생 수는 2017년 3881명에서 2018년 4438명, 2019년 4793명을 기록하는 등 매년 그 수가 늘고 있고 비율로도 전체 재학생의 2.4%를 넘어섰다. 수도권 사립대에 비해 저렴한 등록금, 국립대라는 상징적 의미와 양질의 교육을 위한 투자가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음에도 대학서열화가 가속화되는데 따른 우수학생들의 수도권 쏠림 현상을 극복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교육예산의 적극적 지원이 이뤄지는 이 같은 주요 지방 국립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할 수밖에 없는 지방 사립대의 열악한 상황은 미루어 짐작하고도 남음이 있음이다.  
학령인구감소로 인한 문 닫는 지방대학 급증은 이미 오래전 예견된 일이다. 정부와 대학들도 준비를 했고 자구책도 실천하고 있다. 하지만 그 속도와 범위가 예상보다 빠르게 모든 지방대학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단 점에서 우려는 크다. 경쟁력 약한 수도권 대학들이 위기감을 느낄 정도다.
더구나 올해 수능 응시자는 49만 명으로 지난해보다 5만 명이 줄었다. 전체 대학 모집정원보다 6만 명이 적다. 일부 대학, 특히 비수도권 대학들에서 정원을 채우지 못하는 무더기 미달 사태가 나올 가능성이 높고 전북역시 예외가 될 수 없음은 물론이다. 그동안 신입생 규모를 줄어오며 충격에 대비한 도내 대학들이지만 응시생이 더 큰 폭으로 감소하면서 생존위기가 가속화되고 있는 것이다. 실제 올해수시 지원자가 지난해보다 크게 줄어든 것으로 파악되면서 대학들은 등록률 하락 우려에 비상이 걸린 상태다.
정원도 채우지 못하는 신입생 충원율에 그나마 붙잡아둔 재학생마저 다시 대학을 떠나고 있는 지방이다. 정부 관심과 함께 위기의 대학이 거듭나기 위한 자구노력은 제대로 되고 있는지 되돌아볼 일이다. 경쟁력을 갖추지 못한 대학들의 자연도태는 필연이지만 전북대 조차 흔들린다는 건 지역 근간도 위험하단 의미기에 세심히 살필 필요가 있다. 지역여건 탓만 하지 말고 국립대라는 특성에 안주해 변화에 소극적이진 않은지 들여다봐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