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8월까지 전북도민이 입은 보이스피싱으로 인한 피해액이 87억 원에 달했다. 특히, 피해자 연령층이 50대·40대 순으로 많았고, 다음이 60~70대가 아닌 30대와 20대 이하로 나타나는 등 보이스피싱이 지능화되면서 모바일 개좌이체에 능한 중년층과 젊은 층이 더 큰 피해를 입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박완주 의원이 최근 경찰청에서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2017년 이후 보이스피싱 피해 신고로 접수된 11만7,075건의 범죄 유형은 대출사기형 9만2,943건 79.4%였으며, 기관사칭형 2만4,132건 20.6%로 나타났다. 최근 4년간 피해액은 1조7,440억 원이며, 대출사기형의 피해액은 1조1,043억 원으로 63.3%였으며, 기관사칭형은 6,396억원 36.7%에 달했다.

전북지역의 경우도 갈수록 보이스피싱 피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올해 8월까지 접수된 건만 461건이었고, 금액으로는 87억 원에 달했다. 이 중 전북 역시 대출사기형이 64억 원이었고, 기관사칭형은 22억 원이었다.
특히, 연령대별 피해는 50대(140건)가 가장 컸는데, 이는 지능화된 보이스피싱 범죄자가 대출이 가장 필요한 50대를 타깃으로 대출을 빙자해 수수료나 선이자를 요구하고 가로챈 뒤 사라지는 유형이 많아서다.

이 때문에 40대(135건) 피해자가 두 번째로 많았고, 60~70대보다는 30대(60건)와 20대 이하(60건)가 다음으로 많았다. 전국 평균 역시 연령별로 50대(28.0%), 40대(27.2%), 30대(17.4%) 순으로 피해가 컸다.
경찰청에서는 보이스 피싱을 기관사칭형과 대출사기형으로 구분하고 있는데, 구체적 범죄수법으로 전북지역에서는 계좌이체가 288건으로 가장 많았고, 대면편취가 126건, 상품권 등 현금 외 요구 36건, 특정장소 지정 6건, 배송형 2건, 피싱혼합형 2건, 절취 1건 등이었다.

다행히 전북청은 올해 8월까지 보이스피싱등 전기통신금융사기 신고건수 대비 전화번호 이용중지 요청률이 87.9%에 달했다. 통신사기피해환급법에 따라 검찰총장, 경찰청장 또는 금융감독원장은 전기통신금융사기에 이용된 전화번호를 확인한 때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에게 해당 전화번호에 대한 전기통신역무 제공의 중지를 요청할 수 있다. 이에 2일 이내에 해당 번호를 사용할 수 없게 해 추가 피해를 막는 것이다. 전북청 이용중지 요청률은 경기남부(157.8%), 대구(117.4%)에 이어 3위를 기록했다. 또한 전북청은 올해부터 보이스피싱 추적시스템 입력을 강화해 8월 기준 전국 평균과 같은 74%를 입력했다.

한편, 박완주 의원은 "보이스피싱 피해 신고 건수와 피해규모가 늘고 있는 추세이고, 코로나19로 경기가 어려워 대출사기 형태의 보이스피싱으로 인한 피해가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며 "지능화되고 있는 보이스피싱 예방과 검거를 위해 경찰과 금융당국을 비롯한 유관기관들이 신종수법에 대한 사례공유 및 연구를 통해 대책을 만들서 예방을 할 수 있는 정보공유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황성조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