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마한의 중심지였으면서도 정부의 역사문화권 정비에 관한 특별법 대상에서 제외된 전북마한을 포함시키기 위한 노력이 급해졌다. 전통문화 유산의 체계적 복원·발굴을 위해 내년 6월 시행예정으로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 마한, 탐라문화권의 6개 역사문화권역특별법이 국회를 통과했지만 마한문화권을 ‘영산강 유역을 중심으로 한 전남 일대’로 규정하면서 전북마한이 묻힐 위기에 처했기 때문이다. 
특히 특별법은 정부와 지자체가 특별회계를 통해 역사문화 정비사업을 위한 비용 지원은 물론 문화재청과 지자체장은 역사문화권 홍보와 관광자원화, 국제교류 등을 포함한 5년 단위 기본계획을 수립토록 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문화유적 관광자원화를 위한 정부지원과 함께 이를 홍보,육성 하는 모든 과정에서 체계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단 점에서 향후 지역거점 전통문화유적관광 활성화에 큰 도움을 받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마한은 2,300년 전부터 익산에서 개국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54국 중 하나인 모로비리국은 고창에 그 뿌리를 내렸다. 동국통감, 동사강목 등의 역사서에서도 이를 분명히 인식하고 있다. 실제 고창 봉덕리 고분군에서 발굴된 금동신발, 중국제 청자 항아리 등의 유물은 이지역이 영산강 유역최상류 마한의 중심으로 발전했음을 나타내고 있다.
국립전주박물관에 마한시대 보물 2점을 비롯해 국립익산박물관, 익산시 마한 박물관등 도내 3곳 박물관에만 1만3천4백여 점의 마한유물이 소장돼 있는 것만으로도 전북이 전남과 함께 마한의 중심이었음은 부인 못할 사실이다. 마한연맹체 일원으로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를 바탕으로 성장한 전북 마한국들이 4세기 무렵 백제에 통합될 때 까지 중심으로 성장했음을 보여주는 증거이기에 더욱 그렇다.
물론 마한문화권의 전북포함을 당연시 할 만큼의 역사적 사실이 있었다 해도 지난 5월 특별법국회 통과 과정에서 전북이 제외된데 대한 도와 정치권의 관심부족에 따른 비난의 목소리가 없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그 만큼 전북이 갖고 있는 마한의 역사성은 충분했기에 정부의 결정 역시 문제였던 것으로 귀결된다.
20대 국회 전북정치권과 지자체방관의 결과는 비난받아야지만 21대 국회에서라도 이는 바로 잡아야 한다. 전북 마한사의 제대로 된 발굴과 복원이 이뤄지지 않으면 한국 마한사는 오류와 미완성으로 남게 된다. 정부의 협조를 기초한 개정안마련이 시급하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