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대학교 김병기 교수가 <수필이 있는 서예?평화·축원·오유(傲遊)>(어문학사)를 출간했다.

이 책에는 김병기 교수가 창작한 150여 점의 서예작품 사진과 함께 100여 편의 길고 짧은 수필이 수록되어 있다.

서예작품 창작의 소재로 택한 문장의 깊은 의미를 풀어 쓰고, 그 글을 택하여 작품을 창작한 이유를 잔잔한 분위기의 수필로 풀어 썼다. 김병기 교수는 지금은 ‘살아가는 이야기를 담은 서예’가 필요한 시대라고 하면서 서예를 배우고, 연마하고, 창작하고, 연구하는 과정에서 김 교수 스스로가 겪은 이야기를 맛깔 나는 수필로 풀어썼다.

이 책의 제1부는 '축원(祝願)'이다. 서예를 통해 남이 잘 되기를 축원하는 내용의 작품을 수록하였다. 결혼을 축하하고, 장수를 축원하고, 득남득녀, 이사, 개업 등을 축원하는 글을 서예작품으로 창작하고 수필을 통해 글의 출전과 함의를 상세히 밝히면서 김교수 자신의 생각도 풀어 놓았다.

제2부는 김 교수가 서예를 통해 마음의 평화를 회복한 여러 예를 들면서 ‘서예가 곧 평화’임을 대변하는 작품을 수록하였다. “눈을 삼켜서라도 마음의 불을 끄자.”는 다짐을 표현한 ‘탄설(呑雪)’, “물건으로 인하여 내 마음이 손상을 입는 일이 없게 하자”는 뜻을 담은 ‘불이물상성(不以物傷性)’ 등 50여 점의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제3부에는 ‘오유(傲遊)’라는 제목이 붙어 있다. 김 교수의 오유 정신을 그대로 반영한 대형 예서와 초서 작품이 다수 수록되어 있다. 7언구 두 구절 14자를 한 장에 두 글자씩 쓴 대자 초서로 병풍서는 웅장한 기상과 함께 오유의 정신을 담고 있으며, 광개토태왕비체와 청나라의 이병수(李秉綬), 조선의 추사 김정희 선생 필획을 응용하여 큰 글씨의 예서로 쓴 병풍서 역시 오유의 정신이 담긴 시원한 작품이다.

김 교수는 책의 서문을 통해 ‘서예야말로 안으로 자신을 들여다보며 스트레스도 분노도 다 수렴하여 녹여 스러지게 할 수 있는 예술’이라고 강조햇다.

김 교수는 “코로나19의 상황 이전의 인류는 안으로 수렴하는 문화보다는 밖으로 발산하는 문화, 내적 성찰보다는 외적 표현, 정적(靜的)인 문화예술보다는 동적인 연예나 스포츠에 더 관심을 많이 가졌던 것이 사실이라며 이제 어쩔 수 없이 받아들여야할 코로나19의 상황에서 서예는 코로나19를 극복하는 데에 적지 않은 도움을 줄 수 있는 예술”이라고 강조했다.
/이병재기자·kanadasa@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