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광주, 전남 등 전라권 3개 시·도를 권역으로 묶어 추진하려던 ‘전라 천년문화권 관광개발 계획’이 사실상 무산될 위기에 처해 ‘전북 몫 찾기’ 원동력도 잃게 됐다.

지난 2018년부터 전라권 관광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국토균형발전을 골자로 사업이 추진됐지만, 기획재정부 등 정부 부처에서 국비 반영에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면서 기본계획 용역비조차 담아내지 못한 상태다.

설상가상으로 광주와 전남이 경남, 부산, 울산을 포함한 ‘남부권 관광개발 사업’에 뛰어들면서 졸지에 전북만 ‘낙동강 오리알’ 신세가 돼버렸다.

이에 일각에서는 사업추진 전략을 치밀하게 준비하지 못한 전북이 결국 호남권의 변방으로 전락했다는 지적이다. 이 때문에 도가 관련 사업에 대한 적절한 보완책과 대안을 구성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30일 전북도에 따르면 전북, 광주, 전남이 함께 추진하려 했던 ‘전라 천년문화권 관광개발 계획’이 ‘신규 광역 관광개발 사업 제외’라는 정부의 정책 방향으로 추진이 다소 늦어지는 상황이다. 실제 기재부에서는 전국의 12개 광역관광개발계획의 추진상황과 문제점을 지적하며, 추가적인 광역관광개발계획 수립에 대해 미온적인 입장을 나타낸 것으로 전해진다.

‘전라 천년문화권 사업’은 관광개발계획이 수립되지 않은 전라권에 대한 국가주도의 관광개발계획을 구축하고자 지난 2018년 전라도 정도(定道) 천년을 맞아 전북도, 광주시, 전남도 3개 광역자치단체가 함께 진행하기로 한 사업이다.

3개 시·도는 지자체별로 추진하던 기념사업을 묶어 전라 천년문화권 광역관광개발사업으로 확장했으나, 정부와 지역 정치권의 무관심과 논리 부족 등이 맞물려 추진 동력을 잃어갔다.

이에 도는 ‘전라 천년 문화권 광역관광개발계획’으로 진행하려 했던 29개 사업을 ‘여행체험 1번지 전라북도 연계관광’ 12개 사업으로 축소해 계획공모형 관광개발 사업으로 반영토록 추진할 방침이다. 전북이 가진 문화와 역사 콘텐츠를 발굴해 독자적인 행보에 나서겠다는 게 도의 설명이다. 또 제7차 권역별 관광개발계획을 진행해 ‘여행체험 1번지 전라북도 연계관광사업’을 강화해 나가겠다는 복안이다. 

그러나 사업 방향을 튼 도의 행보가 그리 특별할 게 없다는 게 문제다.

여행체험 1번지 전라북도 연계 관광사업은 크게 ▲역사기행 명소화 관광거점 구축 ▲뉴노멀 시대의 맞춤형 관광자원 개발 ▲3安(안전·안심·안정) 명품관광지 조성 등 3개 분야로 나뉜다.

그런데 세부적으로 사업을 보면, ‘전라 천년문화권 사업’과 별반 다르지 않다.

사업의 방향이 바뀌었는데 여전히 전라도의 역사 재정립과 천년 문화관광 활성화를 위한 광역 관광개발이라는 틀 안에서 사업이 추진되고 있는 셈이다. 또 전북만의 특화전략도 뚜렷하게 보이지 않아, 향후 독자적으로 진행하는 사업에 대해 국비 반영이 이뤄질 수 있을지도 의문이다.

도는 현재 남부권 관광개발 사업이 기본계획이나 실시설계 계획이 아닌, 사업 타당성 분석을 위한 용역이 진행중인 만큼 다시 ‘전라 천년문화권 관광개발 계획’이 진행될 가능성도 있다고 내다봤다. 남부권 관광개발 용역 결과에서 사업의 타당성이 입증되지 못한다면 국비 반영이 이뤄지기 어렵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광주시 역시, 전북과 전남, 광주 3개 시도가 전라권 관광 활성화를 위해 기본 구상안을 마련해 놓은 만큼 단계적으로 사업을 추진해 나가겠다는 입장이다. 현재 남부권 관광개발이 진행되면 그 소스를 가지고 전라천년문화권 광역 관광개발에도 연계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광주시 관계자는 “광주·전남연구원과 전북연구원이 기본계획안을 이미 만들어놓았기 때문에 분명 전라천년문화권 관광개발 시즌2가 추진될 날이 분명 올 것”이라며 “지금도 3개 시도는 호남권 관광개발을 위해 협업하고 있으며, 사업의 속도가 늦춰졌을 뿐 끝난 건 아니다”고 말했다.

전북도 관계자는 “문체부 자체 광역관광개발사업 추진 방향에 맞춰 대규모 전북권 관광개발 사업을 진행해 나갈 예정”이라며 “이 사업들에 국비가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박은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