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영기 전주대학교 교수

그 어느 해보다 다사다난(多事多難)한 2020년을 보내고 2021년 새해를 맞이했지만, 코로나로 인한 우리의 미래는 불확실성의 선상에 있고 어느 대중가수의 노랫말처럼 세상이 왜 이래? 라는 자조 섞인 푸념을 하는 이들이 많은 현실이기도 하다. 하지만정부와 지방자치단체들은 뉴노멀 시대를 대비한 지역 관련 정책을 구상하고 실행하고자 계획 중이다.
  필자는 많은 부문 중 지역관광의 미래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여러 가지 정책 중 정부의 뉴딜정책, 지방자치단체의 관광조직구성 붐, 지역관광의 혁신 필요성 등 3가지 분야를 언급하고자 한다.
  먼저 정부의 뉴딜정책은 지난 2020년 7월 14일 정부가 코로나 19로 주춤해진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새로운 정책으로 발표하였다. 원래 뉴딜정책은 미국의 프랭클린 루스벨트 대통령이 1930년대 대공황 극복을 위해 ‘뉴딜(New Deal)정책’을 강력하게 추진한 것으로, ‘한국판 뉴딜’ 정책 추진을 통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세계적 흐름에서 앞서나가겠다는 목표를 지향하고 있는 정책으로 2025년까지 160조 원이 투입되는 대규모 재정정책이다. 이번 정책은 디지털(digital) 뉴딜과 그린(green)뉴딜, 두 개의 축으로 추진하게 되는데 주요 관련 분야는 온라인 비즈니스, 친환경 미래 모빌리티, 빅데이터, 5세대(5G) 이동통신 서비스, 신재생에너지, 유틸리티 등이다. 이러한 뉴딜정책의 성공적인 관광산업의 적용을 위해서는 관광 분야 활용범위의 확장전략이 필요한데 뉴딜의 탈을 쓴 무늬만 뉴딜이 아닌 새로운 성장 분야로서 관광 뉴딜 산업 활성화 전략이 필요하고 이를 위한 사업의 발굴과 지속가능성 확보가 관건이 될 것이다. 필자는 우리 지역인 새만금 에서 디지털 뉴딜과 그린뉴딜의 스마트 관광사업도입은 좋은 선택이 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지속 가능한 사업수행을 위해서 지역 인적자원의 역량강화가 필수적이며 이에 따른  스마트관광 서비스에 따르는 정보 기술 교육의 필요성은 필수적 요소로서 이를 위해 대학교육과정의 혁신적 변화가 필요하며 국가와 지방정부 차원에서의 사람투자가 요구된다. 기술을 모르는 스마트관광 인력은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경계해야 할 부분이 없는 것은 아니다. 스마트관광 활성화에 따른 관광 분야 인력의 일자리 감소와 전통적 관광산업의 위축 문제 역시 해결해 나가야 할 것이다.
  둘째, 지방자치단체의 관광조직구성이 붐처럼 일어나고 있다. 광역지자체는 물론 기초자치단체들도 관광재단 구성을 하고 있는데 이는 근본적으로 공공영역업무를 과 민간부문과 협업시스템을 구축하여 시너지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장려할만한 것으로 판단한다. 하지만 애초 취지가 무색하게 공공부문의 업무를 민간영역에 떠넘기는 형태의 관계설정이 이루어지는 것은 지양해야 할 것이다. 민간의 전문성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기관의 자율성을 보장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를 통해 관광재단은 전략적 사고를 기반으로 지역의 관광상품개발과 홍보마케팅에 역량을 집중해야 할 것이다.
  셋째, 지역관광의 혁신 노력의 지속이 필요하다, 코로나로 인해 관광산업이 정지된 상태이긴 하지만 터널의 끝은 언제나 존재하기 때문에 이번 기회를 지역관광의 혁신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민간 관광기업들은 뉴노멀 시대 변화하고 있는 관광환경의 이해를 통해 새로운 관광패러다임 환경에 소외되지 않도록 내부시스템 혁신과 여행상품개발, 유통혁신을 추구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민간부문의 혁신동력은 공공부문의 선도적 노력도 요구되며 재정 부문에서는 관광재정 제도개선이 필요한데 관광부문의 지역 창의 계정 신설, 지역관광기금 조성 등 관광 자치 시대를 열어갈 수 있는 재정혁신이 요구된다. 정책 부문에서 국민복지 차원에서 국민 여행 처방제도 등 혁신 정책 도입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