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인구가 지난 1966년 252만2000여명으로 정점을 찍은 이후 내리막 길을 걷고 있다. 2020년 12월 기준 180만4104명으로 인구 200만명 붕괴 전인 2001년과 비교해 10%가량 줄었다. 전북도를 비롯해 도내 14개 시·군에서는 저출산 등으로 줄어드는 인구를 막기 위해 다양한 대책들을 쏟아내고 있지만 무색케 한다. 해마다 1만명가량 인구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고려한다면 인구 180만명 붕괴는 시간 문제로 인구 절벽이 현실로 다가왔다.

▲전북도 인구 ‘9년 연속 추락’

지난해 12월 31일 기준 전북지역 주민등록상 인구는 180만4104명으로 전년 181만8917명보다 1만4813명이 감소했다. 지난 2011년 5068명이 늘어난 이후, 전북 인구는 지난해까지 9년 연속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2017년 처음으로 한 해 1만명 이상 준 뒤 4년 연속 1만명대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10년간 전북 인구수를 살펴보면 2011년 187만4031명에서 2013년 187만2965명, 2015년 186만9711명, 2017년 185만4607명, 2019년 181만8917명으로 해마다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이 기간 전출자를 뺀 인구 순이동을 살펴보면 2011년도를 제외한 모든 연도에서 지역을 떠난 도민들이 더 많았다. 2012년부터 천명대를 보이던 순유출은 2018년부터 1만3780명, 2019년 1만2787명으로 1만명대를 기록했지만, 다행히 지난해에는 8484명으로 천명대로 돌아섰다.

이 같은 수치가 말해주듯 전북도 및 14개 시군의 인구감소 방지 노력이 별 효과를 거두지 못한 셈이다. 도는 인구정책의 중핵을 차지하는 저출산 대책 예산으로 5년 동안 2조4000억원, 연평균 4800억원이 넘는 재정을 투입했지만 백화점 나열식의 사업 추진으로 정책목표와의 정합성이 떨어지는 탓에 아무런 실익을 거두지 못했다는 평가다.

▲출생자가 사망자 수 밑돌아 인구 자연감소 ‘데드크로스’

인구감소 이유는 다양하지만 이 가운데 출생아 수가 줄어든다는데 있다. 전국적으로 저출산 문제가 심각하지만 전북지역 출생아 감소는 다른 지역보다 두드러지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 2011년 1만6439명이던 도내 출생아 수는 2019년 9078명으로 1만명이 무너진 데 이어 2020년에는 8318명으로 절반가량 줄었다.

반면 지난 2016년부터는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를 역전하는 ‘Dead Cross(자연감소)’ 현상도 고착화된 상태다. 2011년 도내 사망자 수는 1만3216명으로 1만6439명인 출생아 수보다 적었다. 하지만 2016년 1만2913명을 기록한 출생아 수보다 사망자 수(1만3976명)가 증가했다.

더욱이 인구 1000명당 출생아 수를 의미하는 조출생률은 2019년 4.9명으로 2018년에 이어 전국에서 최하위에 위치하면서 심각한 수준이다. 가장 높은 조출생률을 보인 세종(11.7명)과 비교해 2배가 넘는 수치로 전국에서 유일하게 4명대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됐다. 혼인건수 역시 2015년 9060건에서 2019년 7005건으로 해마다 눈에 띄게 줄고 있다.

이 같은 전북지역 상황은 더욱 악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코로나19 사태로 젊은 층이 결혼이나 출산계획을 미루고 있기 때문으로 복지, 교육, 국방 등 정부 정책의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해 보인다.

▲유령도시로 전락하는 건 시간문제

도시로의 인구 이동과 저출산 및 고령화의 늪에 빠진 시골 마을에는 추가적인 인구 유입이 없으면 머지않아 통째로 사라질 운명에 처할 공산이 크다.

지난해 한국고용정보원이 제출한 ‘지역별 인구소멸지수 자료’에 따르면 전국 228개 시·군·구 중 105곳이 인구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돼 있다.

전북은 완주군이 처음으로 인구 소멸위험지역에 진입하면서 전주·군산·익산시를 제외한 11개 시·군이 인구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됐다.

임실군(0.187)이 고위험지역으로 나타났으며 진안군(0.201), 무주군(0.201), 장수군(0.204), 고창군(0.204), 순창군(0.217), 부안군(0.22), 김제시(0.249), 남원시(0.297), 정읍시(0.306), 완주군(0.419) 등 10개 시·군은 위험지역으로 분류됐다.

전문가들은 과소화가 지방자치단체의 경쟁력 약화를 넘어 존립기반마저 위협할 수 있다고 입을 모은다. 때문에 정부가 소멸 위험도에 따라 정책 지원을 차등화하고 뉴딜사업, 도시재생, 도시재생혁신지구 등 국비지원 사업과 연계한 사업 등을 추진해 이들 지역의 삶의 질을 높일 구체적인 대안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김대연기자·red@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