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전북지역 대학들이 사상 초유의 미충원 사태를 걱정해야 하는 위기국면을 맞을 것이란 우려의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 수시에 이어 정시 모집 경쟁률이 지난해 보다 크게 낮아지면서 정원 채우기 조차 힘들어진 상황을 맞았기 때문이다.
지난해 4.1대1의 평균경쟁률을 보였던 원광대의 올해 경쟁률이 2.1대 1로 낮아진 것을 비롯해 군산대 역시 3.2대 1에서 1.6대 1로, 전주대도 4.2대 1에서 2.3대 1로 하락했다. 우석대 경쟁률역시 3.3대 1에서 1.2대 1이었고 전북대도 예외는 아니어서 전년도 3.97대1에서 올해 3.17대 1로 낮아졌다. 도내 주요 4년제 대학 경쟁률이 지난해에 비해 예외 없이 크게 떨어진 것이다.
특히 정시 모집은 한명의 수험생이 3곳에 원서를 내고 최종 합격여부에 따라 학교를 선택할 수 있어 경쟁률이 3대1을 넘지 못하는 대학의 경우 미달이 될 가능성은 그만큼 높다. 도내 대학 대부분이 사실상 정원조차 채우지 못하는 위기 국면을 맞았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지방대 위기를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 지 이미 오래다. 경쟁력을 갖지 못한 지방대는 서울 등 수도권 대학을 선호하는 학생들을 붙잡을 수도 없고 유치할 수도 없는 게 현실이기 때문이다. 실제 올해 대학 평균경쟁률이 서울은 5.1대 1, 수도권은 4.8대 1이었던 반면 지방대 평균은 2.7대 1에 불과했단 것에서도 이는 확인된다.
여기에 현실이 된 대학입학 자원 감소는 수도권 대학들 간의 유치경쟁 까지 불러올 수밖에 없고 이는 지방대 위기 가속화라는 부작용을 더욱 심화시키게 된다. 학생들의 등록금을 통해 필요재정의 대부분을 충당하는 대학들에게 학생 수가 준다는 것은 결국 대학 존폐를 걱정해야할 시기가 그만큼 빨라진다는 의미고 이런 위기의 가장 앞에 지방대가 서 있는 것이다.
학과구조조정을 통한 특성화, 지역수요에 맞춘 학과신설 등의 보다 적극적인 대학 차원의 자구노력과 함께 지자체와 정부의 같이 가겠다는 의지가 담보된 협력과 지원이 시급하다. 지방대 위기는 결국 지역경제에 까지 심각한 영향을 줄 수밖에 없고 이는 곧 정부 몫이 될 수밖에 없기에 그렇다. 수도권 대학 정원감축에서부터 지방대재정 지원 확대 등의 현실적인 문제에서 부터 지방대출신 취업우대, 지역차원의 양질의 일자리 늘리기에 이르기 까지 특단의 대책을 지금 마련해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