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내 대학들이 2021학년도 신입생 모집에서 정원을 채우지 못해 2500여명을 추가 모집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학령인구 감소와 수도권대학으로 쏠림 현상 가속화로 지방대 위기가 현실이 되고 있는 것이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 따르면 올해 전국 4년제 대학의 추가모집규모는 162개교 2만6000여명으로 전년도 162개교 9800여명 대비 약 2.7배나 급증했다. 지난 2005년 이후 최대 규모다.

특히 전북의 경우 전북대 60명을 비롯해 원광대 766명, 전주대 338명, 우석대 558명 등으로 전국추가 모집 규모의 9%를 넘고 있어 도내 대학 입학정원 미달은 심각한 수준이다. 입학자원 자체가 부족해지면서 고등학교 졸업생 보다 전체 대입정원이 많아 진데다 어떻게 해서든 수도권 대학으로 입학하려는 수요가 급증한데 따른 불가피한 상황이라 하기엔 도내 대학들의 미충원규모는 너무 심각하다.

입학생을 끌어들일 수 있는 도내 대학들의 자체 경쟁력이 낮은 것은 물론 유치노력 역시 상대적으로 부족해진 ‘한계론’까지 나온다. 지역을 떠나 서울 유학을 가려는 수험생을 붙잡는 일이  대학들 힘만으론 벅찬 과제가 되면서 결국 ‘소멸’ 단계를 눈앞에 둘 수밖에 없는 위기상황에 접어들었다는 평가도 있다.

대학 신입생 감소 현실에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 수도 없이 나왔고 급변하는 입시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해선 보다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특단의 대책이 필요함이 강조된 지 오래지만 도내 대학들이 속수무책으로 앉아서 당하고 있는 것처럼 보일 만큼 현재의 입시결과는 암담하다. 이미 2~3년 전부터 추가모집을 통해 겨우 정원을 채워왔던 만큼 예견되고 심각해질 미달 사태에 미리 대비했어야 함에도 그렇지 못해 최악의 입시결과를 받아들게 됐기에 더욱 그렇다. 정원감축을 비롯해 학과구조개편을 통한 맞춤형 교육, 지역사회유대강화 등의 대학 자구노력과 혁신역량 강화가 시급한 과제가 되고 있지만 이런 노력에 힘을 실어줄 수 있는 정부와 지자체의 적극적인 협조와 협력 역시 현안이다.

비수도권 대학들이 안정적인 재정 뒷받침 속에서 충분히 내실을 다져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힘을 실어줘야 한다. 무작정 자구노력을 밀어붙이고 안 되면 도태시키는 강공드라이브는 자칫 지역사회의 심각한 파장을 불러올 수도 있기에 신중해야 한다. 지방대 위기는 지역의 위기와 직결된다. 단순한 지방학교 폐교의 문제로 접근해선 안 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