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폭력’ 논란이 일파만파 번지고 있다. 프로배구계에서 시작된 학교폭력 문제가 체육계는 물론 우리 사회에 큰 충격을 주고 있다.

뒤늦게 불거진 여자 프로배구 선수 자매는 학창 시절 다른 선수들을 폭행한 사실에 대해 사과했지만 비판여론은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두 선수의 소속팀은 이들에 대해 무기한 출전정지를 결정했고, 대한민국배구협회는 이들의 국가대표 자격을 박탈했다. 이들이 학폭 사실을 사과하고 구단과 협회에서 대응에 나선 것은 그나마 다행이나 이것이 끝이라고 장담할 수는 없다.

도내 학교 운동부에서도 이 같은 폭력 사태가 불거진 적은 있지만 얼마가지 않아 관심 밖으로 사라지기 일쑤였다. 더욱이 체육계 특성상 미래 진로에 대한 악영향 등을 이유로 적극적인 피해 신고를 하기가 쉽지 않은 게 현실이다.
실제 지난해 7월 도내에서도 최숙현 선수 사망 사건을 계기로 학교 체육 폭력 피해에 대한 대대적인 전수조사가 이뤄졌지만 공식적인 피해 신고는 접수되지 않았다.

전북교육청과 전북체육회에서는 최근 들어 또 다시 체육계 폭력이 논란이 되는 만큼 대책을 마련하는 등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고 한다. 대대적인 전수조사와 함께 전문가 위촉을 통해 인권교육과 설문 조사를 진행할 방침이라고 한다.

하지만 학교 폭력 피해를 차단하기 위해서는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인 실태조사를 통해 엄중한 처벌 명문화와 인권 교육 강화가 필요하다. 또한 형식적인 설문조사가 아닌 1대1 면담조사와 같은 제도적 보완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 높다.

스포츠 인권 보호를 강화하기 위해 개정된 국민체육진흥법 및 시행령, 시행규칙이 지난 19일부터 시행에 들어갔다. 이 개정령은 체육인 인권침해·비리 즉시 신고 의무 부과, 신고자·피해자 보호 조치 강화, 가해자 제재 및 체육계 복귀 제한 강화, 상시적 인권침해 감시 확대 및 체육지도자 인권교육 강화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체육계 폭력이 문제가 된 것은 어제오늘 일은 아니다. 그동안에도 이 같은 사건이 터질 때마다 온갖 대책이 나왔지만 그뿐이었다. 법 시행만으로는 체육계 폭력이 쉽사리 근절되진 않을 것이다.

이번 사건이 뿌리 깊은 스포츠 폭력 문화의 일부임을 인식하고 체육계가 근본적인 체질 개선에 나서지 않으면 안 된다. 학교폭력 문제는 스포츠뿐 아니라 학교 안팎에 엄연히 만연한 범죄 행위다.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선 안 된다. 사회 전체가 심각하게 인식해 근본적인 대책을 세울 때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