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령인구 급감과 수도권 대학 선호 현상이 맞물리며 도내지역 대학들이 대거 미달사태를 빚은 것을 두고, 전북대학교 김동원 총장은 이는 지역에 좋은 일자리가 없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또 이 같은 현상으로 지방대가 소멸위기에 놓인 것과 관련, 타개책으로 지역 내 국립대간 통합을 추진해야 한다는 일각의 목소리에 대해선 조심스러운 입장을 보였다. 이전에도 군산대와 전주교대의 통합이 거론됐다가 이해관계자들의 견해 차이로 무산된 바 있어서다.

취임 2주년을 맞은 김동원 총장은 5일 전북대가 지역사회와의 동행 비전으로 “지역발전을 위한 플랫폼 대학을 지향하고 있다”고 역설했다.

대학에 사람이나 기업이 모여들어 혁신 아이디어를 창출하고 지역발전의 에너지를 만들어 내겠다는 구상이다.

그동안 대학의 고유 기능인 기초교육 외에 최근의 사회 수요에 걸맞은 산학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연구중심대학으로서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것.

김 총장은 “전국 중견기업 200여 곳 중 도내 지역은 3곳에 불과하다”며 “지역의 전략산업인 농생명을 비롯해 의학·바이오 분야를 특화해 미래 일자리를 만들어가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이어 “전북대가 지역발전을 위한 밑거름이 돼야한다”며 “지자체와 대학, 기업이 하나의 틀로 같이 움직여서 나비효과를 불러 일으켜야 한다”는 바람을 전했다.

이를 위해 지역의 미래지향적인 공교육 책무 및 인·물적 인프라 구축 차원에서의 지방거점대학 역할론도 언급했다.

학생들이 지역에 토착화 할 수 있도록 교육받고, 취업하고, 생활 하게끔 거점국립대 간 학생교류와 공동학위제, 공공기관 지역할당 비율 확대 등도 가시화 하고 있다고 했다.

지역 내 국립대학 통폐합과 관련해선 군산대와 전주교대 그리고 전남대와 여수대 등 여타 지역의 사례를 들어 “지역 및 대학 구성원들의 합의를 전제로 한 의사결정이 있어야 한다”고 봤다.

캠퍼스가 분리된 상태에서 명칭만 합쳐지는 것만이 아닌 대학 경쟁력이나 운영에 있어 대학과 정부 간 효율적인 배분이 이뤄져야 한다는 것. 이에 김 총장은 “대학 구조조정 및 통합에 따른 후유증을 감하기 위해 정부차원의 예산 및 교수지원 등 후속조치가 잇따라야 한다”고 의견을 피력했다./정해은 기자 jhe1133@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