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10일부터 65∼69세에 대한 코로나19 백신 접종 사전 예약을 시작하는 등 집단면역형성에 속도를 내고 있지만 안정성 논란이 끊이지 않으면서 국민적 불안감이 증폭되고 있다. 백신 예방접종 이득이 부작용 위험보다 크다면서 접종 참여를 독려 중인 방역당국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적극적인 보완책이 마련되지 않는 한 불신의 강도는 높아질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국내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시작된 지난 2월26일 이후 신고 된 이상반응 의심사례는 10일 0시 기준 1만9천705건이었다. 국내 1, 2차 누적 접종자(418만1천3명)의 0.47% 수준으로 전체 이상반응 신고의 96.4%에 해당하는 1만8천987건이 접종 후 흔히 나타날 수 있는 접종부위 통증, 발열, 두통 등의 '일반' 사례로 분류되면서 안정성이 강조되고 있지만 국민적 의심은 커져만 가고 있다. 전북을 포함해 전국에서 마비증상등의 심각한 부작용을 호소하는 사례가 나오면서 접종을 미루거나 거부하는 경우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중앙사고수습본부와 문화체육관광부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달 27∼29일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코로나19 관련 인식도조사' 결과 61.4%(943명)만이 '예방접종을 받을 의향이 있다'고 답했을 뿐 19.6%는 ‘받지 않겠다’, 19%는 ‘잘 모르겠다’고 유보적인 입장을 밝혔다. 이는 3월 1차 조사와 비교 접종 거부 비율이 6.7%p나 상승한 것으로 특히 접종을 망설이는 주요 이유로는 '이상반응 우려'(84.1%)가 가장 많았다. 접종대상자가 늘면서 부작용의심 사례 신고도 증가하자 백신접종에 대한 국민적 불안이 커지고 있음이다.

더구나 코로나19백신 예방접종피해 국가보상은 일단 당사자가 모든 치료비용을 부담한 후 일괄청구 해야 하고 이 역시 의학적 인과성 판단에서 백신에 의한 것임이 명확히 규명돼야만 한다. 확인이 쉽지 않은 연관성이 충분히 있을 수 있지만 드러나지 않았다는 이유만으로 보상조차 받을 수 없는 상황을 맞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상 반응에 대한 폭넓은 대상 적용과 함께 후유증 치료에 대한 정부의 선제적인 조치가 있어야 한다. 접종을 적극 권유한 국가가 만일의 부작용에 소극적으로 대처한다면 어떻게 국민이 믿고 따를 수 있겠는가. 부작용의 위험을 알고도 예방접종에 나선 국민들에 대한 최소한의 배려차원에서라도 보완책을 마련해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