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각한 전북의 저출산문제가 ‘초등교육 붕괴’라는 우려의 현실로 확산되고 있다. 인구감소 쇼크는 이미 예견된 것이었고 이로 인한 지자체 소멸이란 단어가 낯설지 않은 지금이지만 그 가장 앞선 단계라 할 수 있는 문 닫는 학교 급증이 전북 전역에서 확인되고 있기 때문이다.

지방재정교육알리미가 내놓은 통계에 따르면 전북지역 초·중·고등학교 학생 수는 최근 5년(2017학년~2021학년)간 21만5587명에서 19만0706명으로 11.5%나 감소했다. 특히 올해 학생 수는 전년의 19만4772명보다 무려 4066명이 줄었고 이중 초등학교 학생 수는 전체의 절반인 2039명에 달했다.

더욱이 이 같은 학생 수 감소는 시간이 지나면서 더욱 가파르게 진행될 전망이다. 2023학년도부터 향후 5년간 초등학교 학령인구는 매년 급감하면서 현재의 3분2수준으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전북의 6~11세 초등학령인구는 2022년 9만0770명에서 2024년 8만1184명으로 까지 내려앉을 것으로 추계하고 있다. 향후 3년 안에 초등학생이 1만 명 가까이 줄어든다는 것으로 6년 후인 2027년엔 무려 2만4000여명이 감소한 6만6438명 수준을 겨우 유지할 것이란 충격적인 전망을 내놓고 있다. 학령인구 청소년을 동반한 전북으로의 신규인구 유입이 늘어나지 않는다면 중·고등학교에 이어 지역 대학으로 까지 그 파장이 이어지질 수밖에 없고 이는 ‘지역 교육 붕괴’를 현실에서 마주할 수 있단 의미를 뜻한다.

전북의 초등학교 10곳 중 3곳이 전교생 60명 이하의 소규모 학교다. 문 닫는 학교가 늘어간다는 건 지역의 미래를 담보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리고 학교와 지역사회와의 소통단절은 지역위기를 가속화 시킬 수밖에 없다. 지역소멸위기 가속화를 막기 위한 방안중 하나로 지역에 적정규모 이상 학교의 집중 육성 정책을 고려해야 한다는 주장은 그래서 설득력을 얻는다.

학교와 지역의 공생방안 마련에 좀 더 집중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학령인구 감소가 전북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안이한 인식에서 벗어나야 한다. 이러다간 앉아서 위기를 맞게 된다. 국가가 해야 할 일이라고 두 손 놓고 있으면 전북의 순서는 한참 뒤가 될 수도 있다. 학령인구 감소로 인한 학교의 위기를 슬기롭게 극복해 지역소멸문제 까지 해결한 선도 지자체로서의 전북이미지 확보에 욕심을 내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