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립국악원(원장 박현규) 창극단(단장 조영자)이 올해의 순회·교류 공연으로 창극 ‘최북, 그리움을 그리다’를 마련했다.

이 공연은 전라북도의 문화자원 스토리텔링의 일환으로 무주의 예인 최북(1712~1786년(?))을 조명한 작품이다. 지난해 무주군과 공동주최로 제작하여 전주와 무주 2곳에서 공연을 추진했으나 코로나19가 악화됨에 따라 무주공연을 연기했다.

이에 오는 17일 오후 3시 무주군민을 초청하여 한국소리문화의전당 연지홀에서 펼친다.

최북은 조선 영조 때, 기인화가로 더 알려진 무주 출신의 화가이다. 호는 붓 한자루에만 의지해 먹고살겠다는 호생관(毫生館)으로, 산수화에 능해 최산수(崔山水)라고 불리었으며, 또한 그의 이름인 북(北)자를 반으로 쪼개 칠칠(七七)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최북의 화가로서의 기행과 쓸쓸한 죽음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만 그의 청년기나 조선통신사의 수행원으로 따라간 일본, 중국 기행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어떠한 구속으로도 그의 자유로움을 막을 수 없었고 술이 한잔 들어가면 지위 고하에 상관없이 붓을 휘둘러 그림을 그렸다. 그의 예술적 삶과 죽음이 드라마틱하고 그런 인생의 굴곡에서 나온 예술혼과 작품들은 벅차오르는 감동을 준다.

‘최북, 그리움을 그리다’는 젊은 시절 최북의 호기롭고 자유분방했던 예술 세계가 도화서 취재의 좌절을 겪으면서 속물적으로 변했고, 그런 속물적 인간이었던 최북이 설야를 만나면서 다시 방랑하는 삶 속에서 세상을 바라보는 예술적 세계관이 어떻게 완성되어 가는지를 자아(自我)인 순무의 태도 변화를 통해 보여주고자 한다. 그래서 호생관(최북)이 비극적 삶을 산 인물이 아니라 사랑을 통해 삶과 예술에 통달한 자유롭고 지극한 예술가로서의 변모를 그린 작품이다.

극본 오은희, 연출 조승철, 작창 조용안, 작곡 김백찬, 지휘 권성택, 안무 장인숙이 참여했으며, 주요배역으로는 최북역에 김도현(전주대사습놀이 명창부 대통령상), 설아역에 장문희(이옥희바디 판소리 심청가 전북도무형문화재 보유자), 고승조(31일 공연, 장수논개전국판소리경연대회 일반부 대상), 순무역에 차복순(임방울국악제 명창부 대상), 호생관역에 이충헌(고흥판소리명창대회 최우수상)이 열연한다. 그 외 창극단, 무용단, 관현악단 및 객원을 비롯한 80여명이 출연한다. 

한편 ‘최북, 그리움을 그리다’는 부산 을숙도오페라축제 폐막작으로 31일 을숙도문화회관에서도 펼쳐진다.
/이병재기자·kanadasa@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