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호성 대통령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자문위원

최근 코로나 19로 인하여 교육계에 변화의 바람이 거세게 불고 있다. 학교의 본래 기능은 인간을 민주시민의 한사람으로 제대로 잘 성장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대한민국의 학교는 학력, 학벌과 같은 사회적 현상이나 패러다임 때문에 학교가 본래적 기능을 충실하게 수행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제는 교육 본래의 기능으로 돌아가는 것이 위드 코로나시대 미래교육과 맞닿아 있다.

지금의 코로나 상황을 지나면서 기존에 운영해오던 방식의 국가시스템이나 학교, 교사의 역할이 달라져야 할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다.
그렇다면 어떤 방향으로 달라져야 할까? 이제는 개인의 경쟁을 뛰어넘는 상생과 협력. 모두가 더불어 함께 사는 사회나 인간을 만드는 쪽에 학교가 기여를 해야 한다. 그러려면, 우리 학교 내에서 아이들이 시민의 한사람으로서 민주주의를 학습하고 그 안에서 연대와 협력과 공존, 공생을 체험하고 배울 수 있도록 학교가 역할을 해야 하는 것이다.

또한 교사의 역할도 달라져야 한다. 기존에는 교사들이 아이들에게 지식을 전달하는 역할을 충실하게 해왔다. 하지만, 앞으로의 학교교육에서 이런 역할은 제한적일 것이다. 왜냐하면 앞으로의 시대는 아이들이 스스로 생각하고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 스스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시대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아이들을 조력자로서 지원해 주고, 아이들 각자가 가지고 있는 특기나 장점을 발굴해서 그걸 발현해 줄 수 있는데 도움을 주는 역할을 교사가 해야 한다. 또 다원화된 시대에 다양한 정보와 자원들을 잘 연결 시켜 주어야 한다. 예를 들면 아이들의 관심과 흥미가 있는 분야에 교사가 자료를 제공해주고 또 접근 방법을 연결 시켜주는 역할을 해주어야 한다.

물론 학교의 상황은 모두 다르다. 전교생이 천명이 넘는 학교가 있고, 스무 명이 전교생인 학교도 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보면, 코로나 19와 같은 위급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학교조직이 변화할 수 있어야 하는데, 그러려면 학교에 자율성을 일단 많이 주어야 한다. 위급상황에서 상급기관의 지침이나 공문을 기다리며 골든타임을 놓쳐서는 안 된다. 국가나 교육청이 다 통제해 가는 시스템이 아니라 현장에서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고 대처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뜻이고, 또 이 말은 교사에게도 자율성을 많이 주어야 한다는 뜻이기도 하다. 권한을 부여할 때 책임 또한 명확하게 요구할 수 있다. 권한은 없이 위계에 의한 책임만 묻는 현 시스템은 지역적 특성도, 학교의 다양성도 담보해내지 못하고 모두 똑같은 공장식 교육에만 머물게 하는 것이다.

또한 국가의 교육 시스템도 변해야 할 것이다. 가장 큰 것은 안전도 잡고 교육도 살릴 수 있도록 학급당 학생 수를 20명 이하로 만드는 것이고, 그 다음으로는 교육 불평등과 학력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노력에 전념을 다해야 한다.
코로나 이전에는 우리 아이들이 모두 학교에 모여서 같이 급식을 먹고, 모두 똑같은 교육을 받을 수 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비대면 상황속에서 온라인 학습이 병행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으로 인하여 아이이들 간의 학습 격차가 너무나도 크게 벌어지고 있다. 학교, 사회, 국가에서는 가정에서 돌봄과 지원을 받기 어려운 상황에 있는 사각지대의 아이들에게 특별한 관심과 배려를 해주어야 한다. 그렇지 않고, 막연하게 온라인 교육 속에 내버려두는 것은 일종의 방임이 되어 버린다. 특수한 상황 및 계층 아이들에 대한 특별한 대책이 수반되어야만 이런 불평등한 교육이 심화되지 않을 것이다. 
위드 코로나, 포스트 코로나 모두 우리가 가보지 않은 길이고 가는 과정이 힘들고 어렵지만, 다소의 혼돈에도 굴하지 않고 넘어지고 실패해가면서 새로운 해답을 찾아가야 할 것이다. 기술적인 문제는 서서히 보완하면 되겠지만 협력수업, 공동체 활동에서 얻을 수 있는 핵심역량을 키워가는 방식으로 교육의 시스템과 철학이 변해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