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을 아시아 빅데이터센터의 허브로 조성하겠다는 목표 달성을 위해선 전북도의 더 적극적이고 체계적인 대책 마련이 우선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전국지자체들이 지역의 미래를 담보할 신산업 중 하나로 데이터센터의 집중유치와 육성에 전북 못지않은 관심을 가지면서 자칫 주도권을 빼앗길 가능성이 있어서다.

당장 인근 전남의 경우 도의회를 중심으로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데이터센터 건립의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대선공약으로까지 선정해 추진해야 한다는 여론이 확산하고 있다. 인천을 비롯해 수도권은 물론 경남 등 영남권 지자체들 역시 데이터 산업 육성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음은 물론이다.

새만금이 아시아주요 지역들과의 접근성이 우수하고 용지 확장 가능성, 다국적기업들이 선호하는 재생에너지 공급기반 충족 등의 타도에 비해 월등한 조건을 가지고 있는 건 맞지만 이러한 새만금의 절대적 장점 맞서 상대적으로 전북에 불리한 지리적 여건이나 기존의 월등한 인프라 등을 갖춘 주변 지자체들과의 경쟁은 부담이 아닐 수 없다.

정부가 국가 미래 성장 두 축으로 정한 디지털 뉴딜과 녹색 뉴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도는 빅데이터 육성을 선언했다. 그리고 지난해 SK 컨소시엄과 새만금에 2조1,000억 원을 투자해 세계 최고 수준의 데이터센터와 창업클러스터를 구축하는 협약을 끌어냈다.

이를 계기로 하이퍼스 케일 데이터 집적단지 조성, 지능형 전력 공급망 구축, 빅데이터 인큐베이팅센터 조성 등 데이터센터 연관 클러스터 조성 계획을 내놓으면서 일자리 2만 개 창출 및 8조 원 이상의 경제적 파급 효과에 대한 기대를 높이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이런 계획의 구체화를 위해선 지자체나 관계기관, 정부의 적극적이고 유기적인 협력체계가 최우선 돼야 함에도 시작부터 잡음이 나온다. 당장 새만금 송·배전 인프라 구축과 재생에너지 확대 계획에서부터 차질이 예상된다. 특히 한전의 계통연계확충작업은 국가사업의 일환이란 점에서 인근 지자체들과의 주요 사업 유치 경쟁이 자칫 걸림돌이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는 실정이다. 절대 마음을 놓아선 안 되고 가능성의 현실을 위한 절대적인 의지가 선행돼야 하는 이유다. 빅데이터 산업이 새만금에서만 이뤄질 것이라 막연한 기대는 큰 오산임을 알아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