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평야를 덮친 병충해로 농가에 유래 없는 피해가 발생한 가운데 피해로 시름을 앓고 있는 농민들을 위해서는 전북도와 지역 정치권의 적극적인 대응이 요구된다.

24일 전북도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전북지역 전체 벼 재배면적 11만 4509ha의 43%를 차지하는 4만 9303ha에 병충해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병충해별로는 이사도열병 3만 346ha, 세균벼알마름병 1만 684ha, 깨씨무늬병 8243ha 등으로 농업기술원 추정 평년 대비 5~8% 벼 생산량이 감소될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도내 농가에 막대한 피해가 예상되는 가운데 이들의 보상 등에 대한 문제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병충해 창궐과 관련 ▲기후 여건의 연관성 ▲재배 품종별 인과성 ▲농가별 개인의 책임 등 모든 검증 과정을 거쳐야 재해로 인정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지난 2014년 전남에서 발생한 병충해 피해는 당시 태풍과 연이은 강우, 저온 등 기후변화와의 모든 연관성이 입증돼 농업재해로 인정됐지만, 이후 최근까지 병충해로 인한 농업재해로 인정된 사례는 없었다.

이에 전북도는 올해 늘어난 강수일수와 출수기 찾아온 가을 장마 등이 이번 병충해 창궐의 원인으로 보고 농림축산식품부에 농업재해로 인정해줄 것을 공식요청했다.

또 농촌진흥청에서는 올가을 늦장마와 병충해의 연과성 등에 대한 정밀조사를 진행 중이며, 해당 결과를 토대로 내달 열리는 농업재해대책심의원회에서 재해 인정여부가 결정된다.

전북도 관계자는 “재해로 인정받으려면 병충해가 올가을 장마가 직접적인 원인으로 발생했다는 점이 입증돼야 한다”면서도 “다만, 이번 병충해 창궐와 올 가을 장마의 직접적인 연관성을 밝히기 어려울 수도 있는 만큼 지역 정치권의 적극적인 대응과 관심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전북도의원인 최영일 의원(순창)과 강용구 의원(남원) 등은 농림축산식품부 앞에서 도내 전역에 발생한 벼 병충해 피해를 농업자연재해로 인정하고 긴급재난지역을 선포를 촉구하는 1인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반면, 이 같은 기초의원들의 적극적인 활동에도 불구하고 이원택과 이용호, 한병도 의원 등을 제외한 도내 국회의원들은 지역 농민들의 신음에 여전히 어떠한 목소리도 내고 있지 않다./김용기자·km4966@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