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연구원이 ‘전북의 14개 시군별 인구이동 특성과 대응 방안’이라는 이슈브리핑을 통해 지역의 심각한 인구감소에 대응하기 위해선 시군별 인구이동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대응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내놨다. 
전국 89개 지자체를 인구 감소지역으로 지정한 정부가 향후 10년 동안 매년 1조원 규모의 인구감소 대응기금을 편성해 지자체 투자계획에 따라 차등 지원키로 방침을 정한 만큼 지역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고 있는 인구감소패턴을 보다 면밀히 분석, 가장 효율적인 맞춤형 인구대책을 서둘러 준비해야 한다는 것이 핵심이다. 
연구원은 분석을 통해 2020년 전북에서 수도권으로의 순유출 7172명 중 전체의 82.4%인 5912명을 차지한 전주·군산·익산 3개시는 직업과 교육의 지역특화형 인구정책을, 진안·무주·장수는 출산율 제고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순창·고창·남원·정읍은 광주전남권, 장수·무주은 영남권으로부터 전입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며 특히 충청권과의 연계가 강한 완주·진안·무주를 포함한 동북부 지역을 신행정수도 배후도시로 육성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인구유입을 위한 노력도 중요하지만 정주인구의 유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적극적인 대안에 더해 방문인구를 늘려 지역이 활력을 찾도록 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정부의 인구감소지역에 대한 지방소멸기금 투자 지원에 대한 기대가 높지만 효과의 극대화를 위해선 지역특성을 세밀히 분석한 지역 맞춤형 투자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관건이 된 지금이다. 더욱이 시군별 투자계획과 실효성 등에 따라 정부지원금액이 최대 4배 이상 차이가 날 것으로 예상되면서 전국 지자체 마다 효율적인 인구감소대책을 위한 사업구상과 계획수립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는 실정이다. 전북 역시 10개 시·군이 인구감소지역으로 지정돼 지방소멸대응기금 투자계획을 수립 중에 있어 대상 시군의 철저한 준비와 대응은 발등의 불이다.  
모든 대안을 한데 놓고 검토해야 한다. 이미 나왔던 제안들이면 실천되지 못했던 이유가 무엇인지 들여다보고 1%의 가능성이라도 있다면 일단 추진대상에 올려 논의해야 한다. 군산과 익산까지 소멸위기에 몰렸다. 전주를 제외한 도내 모든 시군이 지도에서 이름을 지우는 상황이 현실이 될 수도 있음이다. 지자체 자구노력과 의지에 전북의 미래가 달렸다. 할 수 있는 일이라면 뭐든 해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