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소멸을 걱정하는 처지의 지방들은 그 해결책의 하나로 기업 유치를 갈망하고 있다. 거의 모든 지자체들이 사활을 걸고 기업 유치에 힘을 쏟는 중이다. 정부도 이를 감안해 각종 지원제도를 통해 기업의 지방 이전을 유도하고 있다. 하지만 그 결과는 초라하기만 하다. 기업들 대부분은 한사코 지방으로 내려오는 것을 꺼리고 있다. 사람과 돈이 빠져나간 지역들은 지금도 계속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이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지난 19일 전경련이 발표한 ‘기업의 지방 이전 및 지방 사업장 신증설에 관한 의견 조사’에 의하면 기업 10곳 중 9곳이 지방 이전 계획이 없다고 답했다. 고려 중이라는 답변은 겨우 2%에 그쳤고 이전을 마친 기업은 7.9%에 불과했다. 그 이유는 인프라와 인력 부족이 꼽혔다. 기업들은 지방이전이 시간과 비용을 더 들게 하고 기존 직원들의 퇴사 등으로 인한 인력 확보가 어려운 데다 규제도 많아 힘들다고 답했다. 
  이번 조사는 매출액 상위 기준 1천 곳 가운데 152곳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전북의 입장에서 답답한 결과도 있었다. 만약 기업들은 지방으로 이전한다면 어디로 가겠느냐는 질문에 대전 등 충청권이 1위, 부산·울산·경남이 2위를 한 반면 호남권은 뒷전으로 밀리고 말았다.
  딱히 새로울 것도 없는 조사 결과지만 기업 유치에 목을 매는 전북으로서는 안타까운 현실임이 분명하다.
  이런 추세가 지속 된다면 전북의 지역소멸이 현실화하는 것은 명약관화한 일이다. 전북은 인프라 면에서 뒤처지는 데다 고급인력들이 근무를 회피하는 지역 중 하나다.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 이전 때 그 예를 보았다.
  따라서 특단의 조치가 필요한 시점이다. 우선 정부가 도내 인프라 정비에 더 많은 지원을 해야 한다. 새만금 공항이나 항만, 고속도로, 철도 등 확충돼야 할 사회 인프라가 하나둘이 아니다. 하지만 추진 속도는 한마디로 지지부진이다. 또 고급인력 양성을 위한 시스템 정비도 필수다. 이는 지방대학들이 감당해야 할 부분이다. 현실은 암담하다. 지방대는 지금 생존을 걱정해야 할 처지다. 따라서 정부는 지방대 살리기에 팔을 걷어붙여야 마땅하다. 
  우리는 윤석열 대통령이 선거를 전후해 전북에 들러 ‘기업이 바글거리는 전북’을 약속한 것에 대해 기대를 건다. 새만금을 중심으로 전북에 많은 기업들이 들어오는 것은 지방정부만의 노력으로는 어려운 숙제다. 새 정부가 지역균형발전에 지대한 관심을 표명한 만큼 이에 상응하는 지원이 따르기를 바라마지 않는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