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박한 도시 삶을 떠나 농산어촌에 정착하는 가구가 늘고 있지만 이들 중 전북 이주를 통해 제2의 삶을 준비하는 비중은 오히려 감소,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최근 통계청이 밝힌 ‘귀농어·귀촌인 통계’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귀농·귀촌 가구는 2015년 통계조사 이후 가장 많은 35만7694가구로 전년보다 8.7% 늘었고 귀어 가구도 3년 만에 증가세로 돌아선 것으로 나타났다. 귀농·귀촌 인구역시 2017년 51만6817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2018년 49만330명, 2019년 46만645명으로 감소추세를 보였지만 지난해 49만4569명으로 전년 대비 7.4%가 증가했다. 귀농 인구가 1만7447명으로 전년보다 1266명이 늘었고 특히 귀촌 인구가 47만7122명으로 전년보다 3만2658명 증가했다. 
하지만 이중 전북으로의 귀농가구는 1507가구로 전년의 1503가구 보다 고작 4가구가 늘어나는데 그쳤다. 부산을 제외한 전국최저다. 귀촌은 1만4천737가구로 전년 1만4887가구보다 오히려 150가구가 줄었다. 급격한 인구 감소로 소멸위기에 놓인 비수도권 지자체들이 기업유치 다음으로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귀농귀촌 인구 유입정책에 더해 코로나19장기화, 부동산 폭등 등의 영향까지 겹치며 지난해 전국 귀농귀촌이 최다규모로 진행됐음에도 정작 전북은 이 대열에서 철저히 외면을 받았던 것이다.  
귀농·귀촌 활성화를 위해 전북도가 광역자치단체 최초로 '전라북도 귀농귀촌지원센터 서울사무소'를 열어 관내 14개 시군을 지원하고 젊은 귀농·귀촌인이 적은 비용으로 장기 체류할 수 있는 전북형 보금자리 조성, '문화예술인 생생마을 살아보기' 등의 특화사업을 추진 중에 있지만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될 수밖에 없는 이유다. 타지자체 모두 이런 수준의 지원은 이미 보편화된 정책이 되고 있기에 더욱 그렇다. 
귀농·귀촌 유도 정책은 이제 단순한 은퇴자지원 프로그램을 넘어 젊은 청년들의 새로운 도전과 안정적 정착을 위한 교육, 의료 인프라 확충, 구체적인 소득창출을 위한 사업 프로그램제공으로 까지 확대되고 있다. 지자체의 적극적이고 획기적인 정착지원 계획들을 세밀히 검토하고 추진하지 않으면 결코 경쟁에서 앞설 수 없음이다. 안정적 정착을 위해 유입 단계부터 맞춤형으로 지원하고 있다고 했지만 결과가 너무 신통치 않다. 귀농·귀촌 정책 처음부터 재점검 해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