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일보DB

민주당이 이르면 7월 둘째 주 내 국회 의장단 선출과 함께 상임위 구성까지 마무리 할 태세다.

이 기간 국민의힘과 협상이 안 된다면 민주당이 원 상임위도 강제배정에 나설 가능성도 없지 않다.

전북의 경우 후반기 원 구성에 지역의원들이 어느 상임위에 배정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여당인 시기에도 터덕대던 각종 전북 현안이 야당으로 전환되면서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지켜보고 있어야 될 처지인 셈이다.

민주당의 원 구성이 가시화되면서 전북 국회의원들의 상임위 배정과 관련한 기사를 2차례에 걸쳐 짚어본다.

상-국회 상임위 역할과 19대 이후 전북 상임위 배정은?
하-전북 국회의원의 21대 후반기 상임위 배정은 어디로?

국회의원은 국민이 뽑는다. 지역 현안 등을 해결하기 위해 대표선수를 선출하는 것이다.

따라서 굵직굵직한 지역 내 주요 현안을 결정하고 법안을 만드는 곳이 바로 국회 상임위원회다.

국회 본회의에서 다수결의 원칙에 따라 법안 등이 의결되는 절차를 거쳐야 하지만 법안이 만들어지고 본회의로 올라가는 과정은 모두 상임위에서 시작된다.

국회 의정활동의 뿌리가 바로 상임위인 셈이다.
국회의원이 갖는 법률제정권과 예산심의권, 국정통제권은 상임위에서 행사된다. 그러다 보니 18개 상임위는 대한민국의 모든 분야를 사실상 좌지우지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렇기에 모든면이 열악해지고 있는 전북 입장에서는 1명의 지역 의원들이 균형있는 상임위에서 영향력을 끼칠 수 있도록 하는 바람이 가장 크다.

19대 이후 역대 지역 의원들의 상임위 배정은 어떻게 됐는지 살펴보면 19대 전반기의 경우 도내 11명의 국회의원이 일부 농림수산식품위원회에 집중됐지만 10개 상임위에 고루 배정됐다.

최규성(김제완주) 농식품위원장을 비롯해 같은 선수의 김춘진(고창부안), 초선 박민수(진무장임실) 의원이 같은 상임위이었다.

그러나 19대 후반기에는 당시 14개 상임위 중 7개 상임위에서 전북 의원들이 활동하면서 편중 현상이 가시화됐다.

국회 농식품위에는 3명(유성엽·최규성·박민수의원)이, 보복위는 김성주·김춘진의원, 국토교통위는 김윤덕·강동원 의원, 각 2명이 소속됐다.

당시 도내 대학을 포함한 지방대학 구조조정안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전북 정치권의 교육위 공백상태는 지역의 전략적 손실이 불가피했다.

20대 전반기를 보면 전북 10명 의원들은 8개 상임위에 배정됐다. 
산업통상자원위와 국토교통위에 2명씩이 배정된 것을 제외하고, 6명의 의원들은 지역 현안 해결을 위한 핵심 상임위에 비교적 골고루 포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20대 국회 후반기 원구성을 보면 전북지역 10명 의원은 국토교통위와 산자위·농림해양위에 2명씩, 법제사법위·교육위·기획재정위·보건복지위에 1명씩 배정됐다.

일부 상임위에 대한 쏠림 현상이 여전했다.
당시엔 국민의당에서 분당한 바른미래당 등 다당제의 전북 정치지형이 오히려 전북 발전을 가로 막는 요인으로 작용됐다는 것이 정치권의 분석이다.

하지만 자유한국당을 제외한 여야 3개 원내 교섭단체 예결위에 전북의원들이 포함돼 긍정적으로 평가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