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촌경제 이끌 첫 동시선거 조합장

농어촌 경제를 이끌어갈 전국의 농수축협 조합장들이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선거관리 아래 사상 최초로 전국 일제히 실시된 동시선거로 선출됐다.
농협 수협 축협 및 산림조합 등 직역별 협동조합 설립 이래 개별 조합별로 시행돼 오던 조합장 선출을 전국동시 통합선거로 바꿔 실시된 이번 선거서 전국 1천326명, 전북 108명의 조합장들이 탄생했다.
전국 동시선거지만 농수축협 및 산림조합 조합원 280여만 명이 유권자여서 선거규모가 대선 총선 지선에 비할 바는 아니다. 그러나 당선자가 농축협 1천115명 수협 82명 산림조합 129명으로 1천3백 명이 넘어 4대 선거의 하나가 아닐 수 없다.
조합장들은 사실상 농어촌경제를 현장서 이끌어갈 실질적인 주역이라는 데서 이번 선거가 다른 선거 못지않은 비중을 갖고 있다 할 것이다.
산업화 도시화의 급진전으로 우리 경제에서 농어촌경제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게 위축된 것은 사실이다. 그렇다고 해서 그 중요성까지 추락한 것은 아니다. 여전히 국민 생명산업의 주역으로 산업화가 진전되면서 되레 그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우리 농어촌경제 환경은 중대한 변혁기를 맞고 있다. 종전까지 단순 1차 산업으로 기본적인 식용품을 전담 생산하던 때가 아니다. 관광 레저에 IT산업까지 융합되는 이른바 6차 산업으로의 전환기에 들어서 있다.
그런가하면 농어촌경제 환경은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 전 세계 주요 농업 국가들과 거침없이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하고 있어 이제 우리 농어촌경제가 더 이상 온실 속의 보호 산업이 아니다.
변혁기 농어촌경제를 일선에서 이끌어갈 협동조합장들의 사명이 중차대하다.
협동조합장은 기본적으로 조합원을 위한 봉사의 자리다. 조합의 발전과 조합원들의 권익증진을 위해 무한 봉사에 나서야 한다. 조합의 금융과 사업 그리 직원인사 등을 총괄하고 높은 수준의 연봉이 지급된다고 해서 조합장이 ‘농어촌의 권력자’로 행세해서는 안 된다.
조합장을 장차 지방자치단체장으로 가는 디딤돌로 삼아서도 안 된다. 조합장이 조합의 금융 및 사업을 정치적으로 이용하려 하면 조합의 기반이 흔들릴 게 필연이다. 새 조합장들에 사명에 충실할 것을 당부해마지 않는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