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가 ‘귀농귀촌 1번지’를 표방하며 다양한 지원정책으로 도시민 유치에 나서고 있지만 어촌으로 이주해 거주를 희망하는 귀어귀촌인 유치에는 손을 놓고 있다는 지적이다.
귀농귀촌보다 늦게 시작돼 인지도나 관심이 낮은 것은 사실이나 정부의 지원사업 빼고 도에서 추진하는 특별한 지원정책이나 프로그램 등이 전혀 없어 도시민 유인 조건이 상대적으로 떨어지고 있다.
18일 전북도에 따르면 지난 2002년 90가구에 불과했던 전북지역 귀농귀촌 가구는 지난해 4285가구로 증가하며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 같은 증가요인은 귀농귀촌을 돕기 위한 정부의 지원정책뿐만 아니라 전북도 차원의 지원 등 다양한 혜택에 따른 결과로 분석된다.
도는 올해부터 오는 2018년까지 귀농귀촌인 2만 세대 유치를 내걸고 향후 4년간 총 114억원을 투자해 전북귀농귀촌지원센터 및 수도권상담홍보관 운영, 귀농귀촌박람회 개최, 수도권귀농학교 운영, 도시민 농촌유치 지원, 체류형농업창업지원센터 건립 등의 사업을 펼쳐 전북을 귀농귀촌희망자들의 베이스캠프로 자리매김시킨다는 계획이다.
도내 각 지자체에서도 귀농귀촌을 돕기 위한 지원정책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군산시의 경우 농지 임차료를 최대 3년간 지원하고, 이사비(정읍·남원·순창) 50만~100만원, 영농정착지원금(정읍·김제·임실·고창) 130만~500만원, 중소형 농기계 구입비(부안)를 500만원 한도로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도시민이 어촌으로 이주해 어업에 종사하거나 어촌에 거주하는 ‘귀어귀촌’ 사업은 귀농귀촌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인지도와 관심으로 인해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최근 국립수산과학원 귀어귀촌종합센터가 귀어귀촌을 희망하는 1117여명을 대상으로 상담을 진행한 결과, 이 중 31명(3%)만이 전북으로 이주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희망지로 전남(250명)을 가장 선호했고 경남(221명), 충남(127명), 경북(61명), 부산(46명), 강원(35명) 등의 순으로 선호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지난해 해양수산부의 귀어귀촌 창업자금 지원자 현황을 살펴봐도 전체 139명의 신청자 중 전북은 고작 2명(1.4%)에 불과했다.
‘귀어귀촌’이 ‘귀농귀촌’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조한 이유는 정부의 지원사업 빼고 전북도 자체적으로 추진하는 정책이나 지원사업이 전혀 없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그나마 정부 차원의 자금지원 규모도 귀농귀촌에 비해 낮아 도시민 유인 조건도 상대적으로 불리한 실정이다.
귀어귀촌 주무부처인 해양수산부는 귀어귀촌인에게 최대 2억4000만원(어업창업자금 2억원, 주택구입·신축비용 4000만원)의 자금을 지원하고 있는 반면, 농림축산식품부의 귀농귀촌 지원자금은 각각 3억원, 5000만원 등 최대 3억5000만원에 이른다.
도 관계자는 “전북은 귀농인구에 비해 귀어인구의 수치가 아직 미미한 것은 사실”이라며 “앞으로 귀어귀촌인들의 전북 정착을 위한 지원책 마련을 논의해 보도록 하겠다”고 말했다./김대연기자·red@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