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 지역 수영장 3곳 중 1곳이 내년 상반기 공사에 들어가는 등 군산 학생들의 생존수영교육이 어려움에 부딪혔다.

반면 정부는 생존수영 교육대상을 늘린다는 방침을 내놓고 수영장 확보대책을 형식적으로 제안해, 도내 교육 현장의 진통이 커지고 있다.

정부는 6일 ‘제2차 학교안전사고 예방 기본계획’을 통해 생존수영교육 대상을 현 초등학교 3~6학년에서 2020년 초등 전 학년으로 확대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수업 시 공사립 지역수영장을 활용하되 수영장이 부족하거나 멀리 떨어진 지역에는 조립식 및 이동식(이동식) 수영장을 보급, 지원한다. 올해 5개 교육청(4억 5천만 원 투입)에서 내년 8개 교육청으로 소폭 늘린다.

전라북도도 금년 3~5학년에서 이듬해 3~6학년으로 교육대상을 넓힐 계획이고 임실과 진안 2곳은 학생 수가 적어 전 학년을 교육하고 있다. 그러나 군산만큼은 예외다.

군산은 내년에도 3~5학년만 교육한다. 전주, 익산과 함께 도내에서 학생 수가 많은 곳이지만 수영장은 두 지역(전주 7곳, 익산 4곳)에 비해 적은 3곳이다. 심지어 그 중 1곳이 내년 1월부터 8월 말까지 공사를 계획하고 있어 2곳에서 수업해야 한다.

전북교육청은 교육부가 대안으로 제시한 이동식 수영장도 따로 설치하지 않는다. 도내 여건에 맞지 않을 뿐 아니라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니라는 이유에서다.

전북교육청 관계자들은 “우리도 학생 스스로를 지킬 수 있는 생존수영을 가르치고 싶다. 인프라(수영장)가 없는데 대상을 무작정 늘릴 순 없지 않나. 군산의 경우 버겁겠지만 일단 2곳에서 진행할 생각”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처음엔 군산에 이동식 수영장을 도입하려 했으나 제작업체가 도내에 없더라. 사실상 수도권에나 가능한 시설”이라며 “또한 군산은 섬 지역이 있고 이곳 학생 수가 적다 보니 거점학교에 설치, 100명 이상이 이용하길 권한 교육부 방향에 맞지 않았다”고 했다.

군산 생존수영 교육 대상자가 7천 857명이고 수영장 공사가 길어질 수 있음을 감안하면 다음해 군산 수영장 1곳에서 4천여 명 가까이 수업을 받을 수도 있다. 일반인도 함께 사용하는 수영장이다 보니 학생들은 다른 수업을 빼서 교육받거나 먼 곳으로 이동할 가능성도 있다.

때문에 현실과 동떨어진, 시기상조 정책이란 우려가 현실화됐다는 얘기가 흘러나오고 있다. 도내 한 교사는 “이동식 수영장은 강당이나 운동장 같은 유휴공간에 설치해야 한다. 교육부에서 예산을 일부 준다 한들 운영비와 인건비를 다 소화할 순 없을 거다. 학교에 이동식이 아닌 고정 수영장을 만들면 문제는 더 커진다”고 털어놨다.

근본적으로는 생존수영 확대 속도를 조절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학교가 아닌 지역에서, 교육부를 비롯한 정부 차원에서 수영장부터 갖춰야 했다고 덧붙였다.

교육부 관계자는 “현재로선 지역 수영장과 이동식 수영장을 활용하는 방법이 있다. 수도권 외 지역에서도 지부나 파견 성격 업체를 통해 이동식 수영장을 준비할 수 있을 거라 본다”면서 “장기적으로는 범부처가 손잡고 지역 수영장을 늘리는 게 중요하다”고 답했다/이수화기자‧waterflower20@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