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4월 20일은 ‘장애인의 날’이다. 벌써 41번째다.
장애인의 날은 지난 1981년 UN이 지난 1981년을 ‘세계 장애인의 해’로 선언한 그해 우리나라도 4월 20일을 장애인의 날로 선포하고 첫 행사를 치르면서 공식화됐다.

이 날은 오래된 역사만큼이나 반길 만한데 현실은 그렇지 않은 것 같다. 장애인들을 위한 실질적인 정책은 언제나 무색하고, 조금의 관심 치레와 행사성에 그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장애인을 위한 시설을 의무화하고 있는 각 관광서 등에도 아들이 맘 편히 이용하기에는 아직도 먼 갈을 걸어야 하는 기분이다.

AI와 빅데이터 등을 대표로 하는 4차 산업시대를 맞아 사회일상이 스마트화 되고 있지만, 장애인을 위한 정책이나 시설 확충은 여전히 과거에 머물러 있는 듯하다.
위드(With) 코로나 시대를 맞아 비대면이 생활화되면서 더욱 그러한 듯해 씁쓸하기만 할 뿐이다.

전주의 한 햄버거 가게는 최근 카운터 직원 대신 터치로 작동하는 무인단말기를 들여 놓았다. 그러나 으레 시각장애인을 위해 설치되는 키패드도 없고, 화면 어디에 무엇이 나와 있는지 등을 표시하거나, 읽어주는 도구도 없었다. 결국 시각장애인을 위한 세심한 배려는 없었던 것이다.
관공서에 비치된 무인민원발급기도 마찬가지다. 관공서인 만큼 당연히 점자 안내가 설치돼 있어야 하지만, 카드리더기 위 ‘카드’ 표시 이외에는 점자 표식은 찾아볼 수 없는 실정이다.

휠체어를 이용하는 지체장애인들도 키오스크 앞에서는 만원을 보기 힘들 정도다, 시야가 닿는 곳에 모든 정보가 위치하지도 않는 데다 미처 손에 닿지 않는 곳에 버튼이 위치한 경우도 부기지수기 때문이다.
코로나19에 외출이 쉽지 않은 장애인들은 최근 비대면문화 확산으로 더욱 행동범위가 위축되고 있는 상황이다. 공적 영역인 관공서부터라도 앞장서 장애인에 대한 접근성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장애인의 날’은 장애인의 어려움을 이해하고 그들의 재활 의욕을 북돋아주기 위해 제정된 것임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장애인의 날은 기념일이 아니다. 이들과 함께 손을 잡고, 공감하며 서로 협력해야 함을 염두해야 한다.

장애인을 위한 시설이나 정책 등 기존의 것도 다시한번 꼼꼼히 살펴봐야 한다.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 블록, 동선 유도 라인, 청각 장애인을 위한 음성 보행 안내 시스템 등도 제대로 설치·관리하고 운영하고 있는지 점검할 필요가 있다.

장애인 권리 보장과 차별 철폐를 위한 진정성 있는 정책도 뒤따라야 한다. 그리고 당당한 사회구성원이라는 점을 항상 간직해야 한다. 그래야 진정한 ‘장애인의 날’이 아니겠는가.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