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간의 경제력과 발전가능성을 비교하는 지표인 경제력지수 평가에서 전북이 전국평균치를 밑도는 최하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동안의 진단에서도 하위권을 벗어나진 못했지만 지난 2019년을 기준한 평가에선 더 이상 뒤가 없는 전국 꼴찌였다. 낙후 전북의 현실을 다시 한 번 확인한 것은 물론 이를 탈피하기 위한 기반자체가 취약한 현재 상황을 감안한 특단의 대책이 당장의 과제가 되고 있다.

한국은행 전북본부는 27일 ‘전북지역 경제력지수 및 균형발전 현황’자료를 통해 2019년 전북의 경제력 지수는 5.30으로 전국평균인 6을 크게 밑돌면서 전국 17개시도 중 17위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취업여건(6.26)을 제외한 인력기반(5.04), 소득수준(5.10), SOC 및 재정력(5.22), 산업발전(5.38) 모두에서 전국 평균치에 미치지 못했다. 지난 2000년 당시 16개시도 중 16위에서 2010년 15위로 한단계 상승하기는 했지만 2019년 다시 최하위로 주저앉은 것이다.

생산가능 인구 비중은 감소하고 있는 반면 노령화 지수는 전국평균을 웃도는 전북이다. 1인당 GRDP가 2874만원으로 전국 3721만원의 77%수준이고 청년 취업여건은 ‘나쁨’으로 요약된다. 주민등록인구 대비 총사업체 종사자 수 비중 역시 39.6%로 전국 15위를 넘지 못하고 있다. 

지난 20여 년 동안 지역산업발전을 위한 기업유치와 일자리 창출 노력, 국책사업 발굴을 통한 투자여건 개선 등 나름의 지역경쟁력 향상에 심혈을 기울여왔다고 하지만 여전히 ‘낙후 전북’의 굴레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케 하는 결과가 아닐 수 없다.

지역 경제경쟁력 확보가 하루아침에 이뤄지는 것이 아님에도 지난 수십 년을 거치며 전북의 모든 경제지표가 지속적인 하향곡선만을 그려왔다는 것은 결국 모든 정책의 약발이 받지 않은 체 작아져 왔다는 것이기에 걱정은 더욱 크다. 

전북의 암울한 현실을 당장 탈피할 수 있는 뚜렷한 묘안 찾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지만 그렇다고 이 상태를 방치한다면 정말 고사할 수밖에 없다. 모든 여건에서 우위에 있는 수도권 지자체들이야 그렇다 쳐도 비수도권 시도와의 경쟁력 비교에서 조차 뒷전으로 밀리는 지금의 상황은 어떻게 해서든 벗어나야 한다. 지자체간 무한의 경쟁시대를 맞아 정부의 지원과 배려에만 기대선 희망이 없다.

안 해본 노력이 없고 시도해보지 않은 정책이 없다 해도 다시 또 들여야 봐야 하는 이유다. 전북만이 가진 잠재력과 성장 동력 발굴에 모든 역량을 모아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