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데이터가 사람, 자본 등 기존 생산요소를 능가하는 핵심자원으로 부상함에 따라 전북도 공공데이터 개방확대와 데이터산업 활성화를 위한 적극적임 움직임이 요구된다.

정부가 디지털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혁신을 추진하겠다고 밝힌데다, 수요자 중심의 공공데이터 개방 2.0으로 주요 정책에 데이터를 접목하는 데이터 기반의 일하는 방식 확립에 나서고 있다.

또 오는 8월 마이데이터(본인신용정보관리업) 시행을 앞두고 있어, 생활의 큰 변화가 예고된다.   

하지만 전북도는 데이터 관련 산업 구조가 약하고, 타 지역과의 차별화 전략이나 예산, 인력 등이 모두 부실한 상황이다.

뿐만 아니라 최근 정부가 발표한 ‘2020 공공데이터 제공 운영실태’ 평가에서도 60점 미만인 미흡 등급을 받는 등 공공데이터 운영 전반이 취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데이터산업 기반 구축과 차별화 전략을 마련해 데이터산업 생태계 조성에 힘써야 할 것으로 보인다.

5일 전북도에 따르면 행정, 복지 등 도민 수요가 높은 공공데이터 557건이 개방되어 있다.

2017년 306건이었던 데이터목록은 꾸준히 늘어 2019년 530건, 2020년 539건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문제는 ‘공공데이터’가 단순 기록이나 집계를 위한 통계 형태의 데이터에 머문다는 점이다.

도가 데이터 발굴에는 힘쓰고 있지만, 발굴된 데이터가 민간에게까지 활용될 수 있는 양질의 데이터는 아니라는 점이다.

양질의 데이터가 되려면 사실상 예산이 수반돼야 한다.

그러나 재정 여건상 도는 데이터 발굴 및 관리에 약 3억원의 예산을 투입, 구색만 맞추고 있는 상태다.

반면 서울시는 78억원의 예산을 데이터 관리 및 운영을 위해 투입하고 있으며, 경기도 10억원 가량의 예산이 세워진 것으로 파악된다.

실제 이러한 예산은 각 지자체들이 다양한 정책을 수립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제주도의 경우 ‘바다(물)’ 관련 데이터를 축적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기후와 바다(물)의 연관성을 찾아 향후 정책에 활용하기 위함으로 3개년 계획을 세워 집중 투자 중이다.

공공데이터 개방확대 우수 지자체로 매년 꼽히고 있는 서울시의 경우 ‘열린 데이터 광장’을 통해 5700여개의 데이터를 공개하고 있다.

이 데이터들은 교통 앱 개발 등 시민들의 생활에 적극 활용되면서 새로운 영역으로 확장중이다.

이에 대해 도는 데이터 개방을 위해 기관 보유 데이터 현황 조사를 실시하고, 도민 수요조사를 통해 데이터 개방 목록 발굴 및 제공 확대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공공·빅데이터 역량강화 교육을 실시하고, 데이터산업 활성화를 위해 ICT·SW산업 중장기 발전방향 및 전략수립 용역도 추진한다.

용역을 통해 데이터산업에 대한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고, 도 자체사업 발굴과 공모사업 대응에 집중할 방침이다. 

공공데이터의 민간활용도를 높여 데이터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고, 일자리 창출까지 확장해 나간다는 도의 계획이 결실을 이뤄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전북도 관계자는 “공공데이터의 민간활용도를 높여 데이터 생태계 구축은 물론, 관련 산업이 지역에 뿌리내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박은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