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소재 기업 중 지방이전을 고려한 기업의 58%가 이전 희망지역으로 충청권을 선택한 반면 전북을 비롯한 호남지역을 선호한 기업은 16.2%에 불과했다는 설문조사결과가 나왔다. 수도권과의 접근성, 기업인프라 부족 등 그동안 지적돼 왔던 전북이 극복해야할 기업유치전략의 허점과 문제점이 재차 드러난 것으로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을 위한 지자체의 의지가 다시 관건이 되고 있다.

대통령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이 중소벤처기업 2,188개를 대상으로 지난 1월 진행한 ‘지역혁신성장 동력 발굴 중기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수도권 기업 절반 이상인 55%가 지방 이전을 고려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미 이전을 확정한 기업을 제외한 잠재적 이전 가능성을 제시한 기업도 35.2%에 달했다. 지역경쟁력 강화와 지방균형발전, 수도권 과밀 해소를 위한 정부와 지자체의 수도권기업 분산 정책을 위한 노력과 독려에 기업들이 실제 이를 신중하게 검토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지는 대목이다.

하지만 지역소재 발주처, 협력기관과 연계 강화를 지역창업의 장점으로 꼽고 있으면서도 비수도권 근무라는 업무 환경으로 인해 인재확보가 쉽지 않고 기업 활동 인프라가 부족, 기존 협력사들과의 연계, 자녀교육 등의 문제로 인해 기업이전을 실행에 옮기지는 못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36.7%가 창업단계에서 본사나 공장의 입지조건과 여건을 무엇보다 중요한 결정요인으로 판단하면서 지방이 가진 근본적 한계를 극복하고 보완해야 하는 쉽지 않은 현실이 수도권기업들의 지방이전을 망설이게 하는 1차적인 요인이 되고 있는 것이다.

더구나 기업들이 이전을 선호하는 지역으로 과반이상인 57.9%가 대전?세종?충청을 꼽았다. 광주?전라는 16.2%로 부산?울산?경남의 27.3% 다음이었다. 비수도권 이전에 관심은 있지만 결정이 쉽지 않고 그나마 이전 후보지역도 전북은 광역단위로 나뉜 순위에서 조차 뒤로 밀리면서 지역경제 활성화 전략에 차질이 불가피해 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기업 활동하기 좋은 전북이란 긍정적 이미지 확산이 시급해 졌다. 타지자체와 비교되는 실질적인 지원확대 방안과 함께 전북만이 가진 차별화를 통한 기업유치 전략이 필요한 상황이다. 기업이 외면하면 인구절벽, 지방소멸을 앉아서 맞을 수밖에 없게 된다. 침체된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고 성장 동력을 유지시키는 일에 더 이상 머뭇거려선 안 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