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윤덕 더불어민주당 전주갑 국회의원

지난 1월 한국은행은 전국 17개 시도의 경제력 지수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2019년 전북의 경제력 지수는 5.30으로 전국 평균인 6을 크게 밑돌아 전국 꼴찌라는 부끄러운 성적을 받아들었다. 부문별로 취업여건(6.26)만이 평균(6.00)을 웃돌고, 인력 기반(5.04), 소득 수준(5.10), 산업 발전(5.38) 모두 평균 이하라는 것이다.

여기에 전북 인구 역시 2021년 들어 179만 7450명으로 줄어들었다. 인구가 급속히 줄어드는 것은 청년 인구의 유출이 가장 심각한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일자리를 찾아 떠나는 수도권으로 떠나는 청년이 늘어나면서 지역의 경제력 또한 급속히 하향세를 그리고 있는 악순환이 가중되고 있는 것이다. 일자리를 만들어 청년이 떠나지 않는 전북을 만드는 것이 매우 중요한 이슈가 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전북의 일자리를 만들기 위해 한 가지 주목할 만한 통계가 있다. 대통령 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이 지난 1월 중소 벤처기업 2,188개를 대상으로‘지역 혁신성장 동력 발굴 中企 설문조사’를 실시한 바 있다.

‘지방 기업이전 및 지방 창업 활성화’를 위한 기업 현장의 의견을 물은 이 조사에서 중소기업은 창업 단계에서 ‘본사나 공장의 입지조건’(36.7%)을 가장 중요하게 꼽고 있으며, 응답기업 중 절반이 넘는 55%는 지방이전을 고려한 적 있고 이미 이전한 기업을 제외한 잠재수요도 35.2%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전을 고려했으나 실행하지 않은 이유로는 ‘협력사 연계 곤란’(39.2%), ‘임직원 거주 및 자녀교육’(38.9%), ‘공간 확보 곤란’(30.7%), ‘인재 유치 어려움’(26.8%) 등을 꼽았다. 지방이전을 위한 인센티브로는 42.5%가 ‘정부 보조금 등 이전 지원금’이라고 답했으며, ‘채용인력 인건비 지원’이 18.5%로 뒤를 이었다. 이 밖에도 10곳 중 8곳 이상(84.2%)은 현재 사업 분야와 지역의 특성을 연계하는 데 긍정적인 입장이었다. 88.6%는 지역 중견기업과 매칭 의향이 있었고, 지역 기업 간 네트워크가 도움이 된다는 응답도 77.5%에 달했다. 이 통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응답기업의 85.9%가 지방으로 이전할 경우 인력을 더 뽑겠다고 답했다.

전북 경제 문제의 가장 큰 핵심 이슈는 일자리를 만드는 것으로 변화해야 한다. 우수 중소기업들이 수도권이 아닌 지방으로 이전하겠다는 수요가 확인된 만큼 우리 전북에서도 이를 현실화할 수 있는 적극적이고 공격적인 기업 지원정책을 펼쳐야 한다. 통계에 나타난 기업이 원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변경하고 지역 주력산업 성장 촉진 프로젝트와 청년 창업기업의 지역이전 지원 등을 추진한다면 수많은 일자리를 만들어 낼 수 있다.

공공기관을 이전하거나 대기업을 유치하여 일자리를 만들겠다는 포부를 만드는 것도 매우 중요한 일일 것이다. 또한 경제 환경 변화에 맞춘 산업구조 전환을 위해 탄소산업, 신재생에너지, 수소 산업 등 성장 산업을 선점하는 것 역시 중요한 일이다. 그러나 이 같은 일들은 정부 차원의 지원과 함께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야 결과가 나오는 일들이다.

반면 우수 강소기업 전북 유치는 즉시 실행할 수 있고 외부 의존적 성장전략에서 벗어나 실효성 있는 일자리 창출을 늘릴 수 있는 방안이다. 지방 인재를 수도권으로 이동하지 않는 것에서부터 전북 경제의 경쟁력 강화는 시작되는 것이다. 강소기업을 유치하여 일자리를 만들고 전북경제를 살려내기 위한 공격적이고 혁신적인 노력을 지금 바로 시작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