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이상 계속된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침체 상황이 개선될 기미를 보이고 있음에도 대내에 상존한 불안요인에 기업들의 불안이 커지고 있다. 완만하지만 기업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고 경기위축에 대한 심리지수 역시 개선되고 있지만 소비자 물가불안에 가계부채증가, 미국의 ‘금리인상’ 가능성까지 제기되면서 기업심리가 위축되고 있는 것이다.

코로나백신 접종이 본격화되고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전북기업들의 제조업황도 점차 살아나고 있다. 최근 한국은행 전북본부가 밝힌 ‘4월 전북지역 기업경기조사 결과’에 따르면 제조업 업황 기업경기실사지수(BSI)는 전월의 76보다 11p 급등한 87이었고 5월 업황전망 BSI 역시 전월보다 7p 상승한 86으로 예상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한 것으로 최근 들어 기업경기가 점차 개선되고 있음이 수치상으로 나타난 것이다.

이에 앞서 전주·익산·군산·전북서남 4개 상공회의소의 협의체인 전라북도상공회의소협의회가 도내 95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2021년 2/4분기 전북지역 제조업체 기업경기전망조사에서도 BSI는 103으로 지난 2015년 2/4분기(103) 이후 6년 만에 처음으로 기준치 ‘100’을 넘어섰다.

전북기업들의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심리가 위기상황 속에서도 긍정적으로 나왔다는 것은 분명다행이다.

하지만 기업 간, 업종간 분야별로 현장에서 받아들이는 체감 경기 차이는 크다. 각종 경제지표 상승에도 활황을 띄는 업종이 극히 제한되면서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은 기저효과로 인한 수치적인 상승에 불과한 게 사실이기 때문이다. 기업들이 직면한 대내외적인 불안과 위기요소 해결을 위한 정부의 보다 적극적이고 실효성 높은 지원을 통해 투자심리 회복이 뒤따라 주지 않는 한 기업간, 업종간 극과극의 격차는 더욱 벌어질 수밖에 없다. 수치상으로 드러난 활황으로 인해 내부적으로 심각하게 골병드는 기업이 가려지는 우를 범해선 안 된다는 것이다.

여기에 국제통화기금(IMF)은 최근 한국의 가계부채는 가처분소득의 190%를 넘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최고 수준이며, 중소기업의 절반은 이자도 갚지 못하는 한계기업이라는 경고 메시지를 내놨다. 재닛 앨런 미 재무장관은 ‘금리 인상’까지 시사했다. 최악의 상황에 대비해  경기회복 속도를 앞당겨야 하는 과제가 주어졌단 의미다. 철저한 위기 대응과 함께 경기회복을 기대하는 기업에 힘을 실어주기 위한 보다 과감한 정책 결정이 필요한 지금이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